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motional Response to Relaxing Music

이용수 259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통합치료학회
저자명
유가을(Yoo, Ga-eul)
간행물 정보
『통합치료연구』제2권 제1호, 49~6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긴장 이완을 위한 음악을 감상할 때 일어나는 정서 반응 변화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는 음악 전공 대학생 15명과 비음악 전공 대학생 15명이 여했다. 참가자들로 음악을 듣기 전과 들은 후 인지되는 정서 상태를 이차원적인 정서 척도 (각성-졸림의 활성화 정도 척도와 유쾌- 불쾌의 정서 유인가 척도)에 표시하도록 해, 그 차이가 어떤지 살펴보았다. 전체 참가자들의 정서 반응을 살펴보았을 때, 활성화 정도 척도에서는 평균값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됨이 관찰되었지만, 유인가 척도에서는 그 반응 변화가 유의미한 수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그룹간 평가 내용을 비교해보았을때, 활성화 정도 척도에 있어서는 두 그룹 모두 음악 감상 후 정서의 활성화가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즉 정서 반응에 있어 긴장 이완이 이루어졌다고 보고한 것이다. 반면 정서가 척도에서는 두 그룹이 서로 상반된 경향을 보였다. 음악 전공자 그룹의 경우 음악 감상 후 유인가 변화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비음악 전공자 그룹은 감소된 유쾌의 유인가를 보고했고 그 감소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긴장 이완을 위한 음악이 제공되었을 때 긴장 이완의 정도뿐만 아니라 유쾌-불쾌의 정서 유인가 역시 영향을 받음이 나타났다. 또한 이전 음악 경험이나 음악 교육에 따라 정서 반응이 달라질 수 있음이 관찰되어, 음악 치료를 위한 음악 선택에 있어 대상자의 다양한 특징과 환경에 대한 고려가 사전에 이루어져야함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motional response to relaxing music, using two dimensional self-rating scales: activation scale (arousal-relaxed) and valence scale (pleasant-unpleasant). The effect of musical training and experience on the difference of emotional responses was also investigated. 15 music major and 15 non-music majo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Before and after listening to relaxing music, participants rated their emotional states on two bipolar sca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re- and post-listening ratings on the activation scal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on the valence scale. Comparison of data from music and non-music major groups indicated that both groups rated lower scores on the activation scale at post-experiment than at pre-experiment, indicating decrease in emotional arousal, relaxation. Regarding ratings on the valence scale, while music major participan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non-music majors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leasantness.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changes in the dimension of pleasantness-unpleasantness as well as levels of emotional relaxation may be affected while listening to relaxing music. Also, the effect of previous musical education and experience on emotional responses was indicat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view of Literature
Ⅲ.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References
〈국문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가을(Yoo, Ga-eul). (2010).Emotional Response to Relaxing Music. 통합치료연구, 2 (1), 49-62

MLA

유가을(Yoo, Ga-eul). "Emotional Response to Relaxing Music." 통합치료연구, 2.1(2010): 4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