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漢城百濟 形成期 土器遺物群의 變遷과 生産體系의 變動

이용수 1474

영문명
The Specialization of Utilitarian Pottery Production in the Early State, Hanseong Baekj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李盛周(Lee, Sungjoo)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71호, 51~8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원삼국ㆍ삼국시대 중부지방(漢江 中流域)의 취락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유물군을 중심으로 토기생산 전문화의 수준을 진단하고 그 변동의 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논의에 앞서 최근 발굴 보고된 남양주 장현리유적을 중심으로 토기유물군의 편년을 검토했다. 그 결과 打捺文 甕과 鉢이 生産되기 시작한 것은 4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로 추정되어 기존의 연대보다 100년 하향 조정 되었다. 기존의 견해처럼 한성백제 양식의 기종들은 3세기 후반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라 4세기 후엽부터 점진적으로 등장하여 5세기 중엽에 가까운 시기에 완비되는 것으로 파악했다. 다음으로 토기유물군의 변화를 생산체계 변동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먼저 원삼국시대에는 취락 내 중도식무문토기 생산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이 시대 말기에 타날문단경호 전문생산을 위한 독립된 공방이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타날기법과 회전법에 의해 甕과 鉢 器種이 표준화된 형태로 대량생산되는 것은 4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로 추정되었다. 이 생산시스템의 기술체계는 타날문단경호의 제작기술과 연관되지만 山水里窯址와 같은 토기생산유적에서 생산 기종을 확대했다는 증거는 찾지 못했다. 다만 大田 龍溪洞유적의 사례를 보면 대규모 취락의 경우 옹과 발의 생산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운영했을 가능성도 크다는 것은 지적할만하다. 끝으로 저장용토기의 생산ㆍ분배시스템에 대해 검토했다. 백제의 경우 지하식 수혈에 대형토기를 이용하는 저장방법이 유행했기에 5세기에는 그러한 저장방식에 사용된 대형단 경호의 생산이 확대되었다. 이 대형단경호는 취락 단위로 실용토기를 제작했던 생산체계나 기술체계와는 판이한 방식으로 생산되었다고 보며 백제 국가체제의 개입에 따른 것으로 설명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lower Han river valley, where the formation of the early state, Hanseong Baekje, had been under way from 3rd to 5th century A.D. the ceramic assemblages from the settlement have been considered as th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pace of the socio–political changes. In this paper, however, the widely accepted developmental scheme of the ceramic assemblage is totally reexamined, because it is not fitted to overall process of the change. It could be suggested, based on the new chronological scheme, that two classes of utilitarian wares, the cooking jar and the bowl for preparing and serving had got to be produced by the pioneering potters who had painstakingly acquired the skill of the wheel throwing method and the paddle and anvil during the middle of 4th century A.D. It is not until the early 5th century that the specialized production of the large storage jar had been achiev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漢城百濟 形成期 編年의 問題點
Ⅲ. 住居址 및 土器遺物群 變遷의 分期와 年代
Ⅵ. 中部地方의 土器生産體系와 生産의 專門化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盛周(Lee, Sungjoo). (2011).漢城百濟 形成期 土器遺物群의 變遷과 生産體系의 變動. 한국상고사학보, (71), 51-84

MLA

李盛周(Lee, Sungjoo). "漢城百濟 形成期 土器遺物群의 變遷과 生産體系의 變動." 한국상고사학보, .71(2011): 5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