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원전 3세기 遼寧 地域의 燕나라 遺物 共伴 遺蹟의 諸 類型과 燕文化와의 관계

이용수 454

영문명
The interchange and various types of sites of the Liaoning area which yield Yan artifacts of the third century B.C.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吳江原(Oh, Kangwo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71호, 5~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원전 3세기 초부터 燕나라가 秦나라에 의해 멸망당하는 시점까지 遼寧 지역에는 燕나라 유물 및 유물 요소가 복합하는 다수의 유적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遼寧 지역에서 燕나라를 포함한 中國系 유물이 공반하는 현상은 청동기시대에도 있었지만, 이 시기에는 遼寧의 일부 지역에 군대 주둔과 주민 이주의 물질적 징표인 燕나라의 각종 군사 방어 시설ㆍ郡縣 城址ㆍ聚落址ㆍ古墳群 등이 셋트로 들어서게 됨으로써 그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대량의 燕나라 유물이 유포되었고, 그 문화적 영향 또한 심각하였다. 遼寧 지역의 燕나라 유물 복합 유적은 유물 유적의 지역적 공반 양상을 고려할 때 眉眼溝類型(燕文化), 謝家街類型, 任家堡類型, 劉家哨類型, 尹家村類型, 大甸子類型으로 묶여진다. 이 가운데 眉眼溝類型을 제외한 나머지는 재래의 문화적 전통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토착 유형들인데, 尹家村類型은 같은 지역 내에 燕나라 유적과 혼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遼東郡내에 포괄되어 있던 토착 유형이라 할 수 있고, 劉家哨類型은 遼東郡에 포괄되어 있기는 하되 복속의 댓가로 자치적인 상태에 있던 토착 유형이라 할 수 있다. 大甸子類型은 이 유형의 주요한 유물 요소가 그대로 지속되어 초기 高句麗文化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는 점과 이 유형의 범위 내에 燕나라 유적이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鴨綠江 하류역의 燕나라 집단과 교역 등을 하며 존속하던 遼東郡 바깥의 토착 유형으로 생각된다. 謝家街類型과 任家堡類型 또한 현재까지 발견된 燕나라 유적군의 분포를 고려할 때 遼東郡 바깥에 있던 토착 집단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任家堡類型은 燕나라 鐵製 利器가 거의 공반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燕나라와의 교류가 가장 미약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From the early third century B.C. until the time Yan was destroyed by Qin there were many sites in the Liaoning area which wield multiple Yan artifacts and artifact elements. In the Liaoning area artifacts of Chinese origin including Yan existed from the bronze age, but in this period in some parts of the Liaoning area, material indicators of military occupation and settlement migration such as various defensive positions, district and prefecture castle sites, settlement sites and tumuli appear as a set, thereby large amounts of Yan artifacts were spread out incomparable to previous periods and the cultural influence of this was profound. The multiple Yan artifacts and remains, when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xcavated artifacts, can be characterized into the Meiyangou type(Yan culture), Xiejiajie type, Renjiabu type, Ryujiashao type, Yinjiacun type and the Dadianzi type. With the exception of the Meiyangou type the remainder are all indigenous types founded on native cultural traditions, the Yinjiacun type found together with Yan sites of the same area, seems to have been an indigenous type included within Liaodong commandery, the Ryujiashao type although included within Liaodong commandery was an indigenous type which was granted autonomy in exchange for sub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main artifact elements of the Dadianzi type are sustained and form the basis of early Koguryo culture and that within the boundaries of this type Yan sites are not found, the Dadianzi type seems to have been a native type located outside Liaodong commandery that maintained itself by carrying on trade with Yan groups of the lower reaches of the Yalu river.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Yan site groups discovered until the present, the Xiejiajia and Renjiabu types seem to have been asscoiated with native groups located outside Liaodong commandery, the Renjiabu type, considering that almost no Yan iron implements are found, seems to have had the least exchange with Yan.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시간 범위의 설정과 주요 유적의 연대 검토
Ⅲ. 기원전 3세기 遼寧 지역 燕나라 遺物 共伴 遺蹟의 諸 類型
Ⅳ. 遼寧 地域 諸 類型의 燕나라ㆍ燕文化와의 關係와 性格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吳江原(Oh, Kangwon). (2011).기원전 3세기 遼寧 地域의 燕나라 遺物 共伴 遺蹟의 諸 類型과 燕文化와의 관계. 한국상고사학보, (71), 5-32

MLA

吳江原(Oh, Kangwon). "기원전 3세기 遼寧 地域의 燕나라 遺物 共伴 遺蹟의 諸 類型과 燕文化와의 관계." 한국상고사학보, .71(2011): 5-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