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5세기 영남지역 토기문양의 변화와 교류맥락

이용수 1169

영문명
A Study for Transition of Pottery Design and Interaction Context in Yeungnam Region of 5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김옥순(Kim, Oksoo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71호, 117~14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토기의 문양은 양식을 구성하는 하나의 속성이지만, 문화에 반영된 텍스트나 취락분포유형, 집단 영역, 계층성 등 다양한 주제로 접근할 수 있는 풍부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 4~5세기 영남지역의 토기의 문양은 소지역 양식들을 보다 폭넓게 포괄하는 분포권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형태적인 속성만큼 지역간의 교류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 각 유적에서 확인된 토기문양을 검토하고, 분포양상을 살펴보았다. 영남지역의 삼국시대 토기는 그 형식적 특징뿐만 아니라 문양에 있어서도 4세기대에는 비교적 넓은 분포권을 형성하였으나, 5세기 대 범신라와 범가야의 양식이 성립되면서, 보다 좁은 영역의 분포권들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분포권은 토기 제작기술, 형태, 문양에 있어서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새로운 문양들의 확산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문양의 교류는 동일한 분포권 내에서도 사회집단간에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며, 분포권의 경계지점에 있는 사회집단들은 문양을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사회집단 간의 문양교류는 문화적 확산과 함께 문화수용자들에 의한 수요의 증가로 인한 결과로 해석된다. 5세기를 전후 하여, 신라와 가야는 집선문과 유충문으로 대립되는 커다란 분포권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5세기 중엽 황남대총이 축조될 시점에는 특히 삼각집선문, 거치문을 비롯한 복합문양들의 분포권은 사회집단간의 문양의 교류양상을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5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경주분포권의 문양들이 울산에서 양산 부산방향, 창녕에 이르기까지 분포권이 넓혀지며, 범신라양식의 통합과정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Design of pottery is only a attribution that composes a Style, but it includes many informations that can approach to contexts in embodied settlement patterns, boundaries of polities, exchanges, etc., Design of pottery can be used as the same tools of explain for culture as type attributions, because ones of Yeugnam region forms interactions embraced widely regional sphere during 4rd~5th Century. Designs of potteries were formed unified distribution sphere of designs as well as types across the whole of Yeungnam region during 4rd Century. But, during 5th Century, distribution spheres were differentiated with two large ones, and were reformed as special sub–spheres in the them. Distribution spheres of designs had different diffusion patterns with close correlation in the making–skill, form, decoration during 5th Century. Also interaction of designs among social groups had done selectively, especially it's for strategic choosing in social groups closer to boundary of sphere. These trait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from increasing demand by cultural consumers according diffusion of designs among social groups. About 5th Century, Silla and Gaya style spheres were differented with typical two ones. The former is charactered by combo–pattern and the latter is charactered by pattern of dot lined. And distribution spheres designs including a triangle combo pattern and sawtooth incising pattern were increased rapidly and spreaded to peripheral region during the middle of 5th Century, when huge mound of Hwangnam–Daechong was constructed. These saw our interaction contexts very well. And, Gyeongju designs were spreaded to the limit of sphere about the end of 5th Century. On the one hand, wide Gaya sphere with Goryeong center was charactered by wave–patterns includes style sphere of Haman and Sogaya were existed in the wide spher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문양의 종류와 시기적 변화
Ⅲ. 토기문양의 분포양상
Ⅳ. 영남지역 토기문양의 교류맥락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옥순(Kim, Oksoon). (2011).5세기 영남지역 토기문양의 변화와 교류맥락. 한국상고사학보, (71), 117-148

MLA

김옥순(Kim, Oksoon). "5세기 영남지역 토기문양의 변화와 교류맥락." 한국상고사학보, .71(2011): 117-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