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루마니아의 ‘트로이차’와 장승·솟대 비교연구

이용수 367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Romanian Cultural Heritage 'Troytsas (Troiţa)' and Jangseung·Sotdae(Korean traditional totem pole at the village entrance signifying prayer for a good harvest and village's peace)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김정환(Kim Jeonghwan)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연구 제26권, 231~25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루마니아의 ‘트로이차’는 한 마디로 우리 문화의 ‘장승’이나 ‘벅수’또는 ‘솟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입간 습속의 대표적인 민속 조형물인 장승(벅수)과 솟대는 하위신으로서 민간과 밀착되어 부락이나 방위 수호, 산천비보, 읍락 비보, 호법, 경계표, 노표, 금표, 기자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신격화된 조형물을 의미하며, 장대나 돌기둥 위에 새를 앉힌 모양을 한 솟대는 북아시아 샤머니즘의 문화권 안에서 ‘세계수’와‘새’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매우 오랜 역사성을 지닌 신앙 대상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변별성을 부여하여 루마니아의 트로이차는 원시 민속학적 기원(수목의 토테미즘)에 뿌리를 둔 크리스트교 사상의 성스러운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트로이차는 마을의 입구나 출구 또는 길가 교차로에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때때로 마을의 중심부에 세워져 트로이차 스스로 현실과 상상의 모든 길이 만나는 교차로서의 상징성을 내포하기도 하고, 마을과 마을의 경계에 세워져 노표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과거 공동체의 삶은 ‘하늘의 기둥이나 원주’와 같은 성스러운 수목을 구심점으로 하여 확립되었으나, 근래로 넘어오면서 트로이차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 형성으로 대체되기 시작하였는데, 하늘, 즉 신성과의 교감 또는 사다리나 계단 같은 ‘세계수’의 의미를 상징하게 되었다. 종교 신화적 테두리 안에서 ‘땅 밑’과 ‘땅 위’ 그리고 ‘하늘’을 이어주는 세계수의 상징을 가진 트로이차는 공간의 신성화는 물론 악령, 어둠, 지하세계와 같은 자연의 모든 사악한 기운에 대한 방어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토로이차는 한 민족의 다양한 공동체 속에서 과거와 현재, 성과 속,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하나로 결속시켜주는 종교 문화적 기호이자 상징이 되고 있다.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장승(벅수)과 솟대 역시 마을의 입구, 교차로, 마을 경계, 사원이나 대문 등 초자연적 존재들이 드나들거나 내·외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을의 안녕과 수호, 풍농, 액막이, 벽사, 노표 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트로이차’나 솟대, 장승 또는 그 복합형을 아우르는 ‘장승류’역시 유사한 점을 보이지만, 그 모습과 유형은 사뭇 다른 것이 특징이다. 장승이 잡귀나 질병을 내칠 듯이 입을 크게 벌려 몹시 노한 표정을 지으며 의인화된 모습을 보이는 반면 솟대는 ‘장대’와 ‘새’로 구성되어 샤머니즘의 범주 안에서 세계수의 상징성을 지향한다. 즉, 트로이차와 솟대가 입간민속의 하나로 지주나 선돌형을 보편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면, 장승은 기둥형이나 비석형에 바탕을 두되 우상형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장승은 돌과 나무로 만들어진 석장승과 목장승이, 그리고 솟대 역시 나무와 당간 지주 형태의 돌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만물에 신령이 깃들어 있다는 다신적 만상이 시대를 거쳐 나무와 돌 등이 신의 처소로 되어가는 과정에서 수용된 것으로 인식된다. 트로이차의 재질 역시 주로 돌과 나무로 만들어지는데, 크리스트교 도입 이전의 트로이차는 하늘의 기둥이나 원주처럼 성스러운 구조물의 형태를 뗬으나, 크리스트교 도입 이후 십자가형이 주류를 이루며 성상(이콘)이나 교회의 포치 이형들도 등장하게 된다. 또한 트로이차나 솟대와 달리 장승은 성이 구분되는데, 남장승은 홍색, 여장승은 황색으로 채색되는 것이 특징이다. 루마니아의 일부 지역에서는 트로이차의 유형 중 ‘십자가형 트로이차’와 ‘성상(이콘)형 트로이차’가 복합적으로 앙상블을 이루기도 하는데, 이는 우리의 시골에서 자주 접하는 장승과 솟대의 앙상블과 매우 유사하다. ‘트로이차’와 ‘장승(벅수)·솟대’는 양국의 기층문화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마을 또는 공동체의 신앙으로서 수호와 비보, 골막이와 액막이, 노표로서의 주된 기능 외에도 솟대가 보여주듯‘우주목(세계수)’과 ‘하늘 새(물새)’의 결합처럼 예사롭지 않은 신앙의구심 축을 이루는 입간 민속이 되고 있다.

영문 초록

An artistic creation expressed as a cultural phenomenon symbolizes the characteristics of a nation's soul and mental life. The house or the church among the various formative arts reflects, in many cases, not only the proper and philosophical art, but also the religious belief and permanent national identity. The cultural heritage of a nation which shows us the religious symbol and signal in the great nature harmonized with the profane and the sacred, is also found easily in Romania. 'Troytsa (Troiţa)' and 'Jangseung·Sotdae' among them are representative. The Romanian cultural heritage 'Troytsa (Troiţa)' conforms very similarly, in a word, to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Jangseung·Sotdae'. 'Jangseung' and 'Sotdae', the representative popular sculptured creation of the folk beliefs related to the totem pole, are close to villagers' life, being a low-ranking god among the village's gods. These deific creations have the functions of divine protection of village's peace, the signpost, the boundary, the defense of the constitution, the good harvest, the preventing misfortune, the prayer for children etc. The Sotdae which puts the birds on the pole or the stone column, is recognized as an object of belief mixed between the 'Tree of World' and the 'Bird of Soul' in the cultural area of North Asia shamanism. Unlike them, the Romanian 'Troytsa (Troiţa)', taken root in the ancient faith (the Totem of Tree), is a divine sculptured creation mixed with Christianity. The 'Troytsa (Troiţa)' is located generally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or the intersection of the roads. Moreover, the one constructed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contains the symbol of the intersection which meets the whole imaginative roads and the other set on the border between neighboring villages having the function of the signpost. The sacred tree of pre-Christian as 'the Sky Columns' is the center of the life of the community in the ancient times, and nowadays the 'Troytsa (Troiţa)' is recognized as the center of community. The 'Troytsa (Troiţa)' has the significance as the Tree of World which links the land with the sky and the underground in the conception of the religious mythology. Having not only the consecration of the space, but also the prevention of whole misfortune and evils, the 'Troytsa (Troiţa)' means the religious signs and cultural symbols which unite the ground and the underground, the profane and the sacred, the continuance and the discontinuity. From this point of view, 'Jangseung' and 'Sotdae' are constructed on places such as the entrance of village, the intersection, the boundary, the monastery, the gate in which supernatural beings or villagers come in and go out and the contact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gets accomplished. The 'Troytsa (Troiţa)', the 'Jangseung', the 'Sotdae' and their complexes have the same standpoint for the functions and characters, but their features and patterns are different. The 'Jangseung' keeps the angry and fearful countenance as much as to throw away the diseases and the evil spirits, but "Sotdae', consisted of the totem pole and the bird of soul, intends to be the symbol of the Tree of World. If the 'Troytsa (Troiţa)' and the 'Sotdae' maintain the style of the 'Menhir' or the 'Column' as one of the folk beliefs related to the totem pole, the 'Jangseung' preserves the 'Iconolatry', the 'Column' and the 'Tombstone'. The 'Jangseung' is made generally by wood and stone, and the 'Sotdae' is also constructed by the same materials. These materials are accepted through the outlook on the world which the divine spirits close in all things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wood and the stone become the living place of gods. The 'Troytsa (Troiţa)' is also made by wood and stone. The pre-Christian 'Troytsa (Troiţa)' keeps a type of the 'Column', but after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this adopts the pattern of the crosses. Different to the 'Tr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성스러움의 현현 - 원시 민족학적 근원
3. 루마니아의 유형 문화유산 ‘트로이차’
4. 유형의 문화유산 ‘장승’과 ‘솟대’의 종교·문화적 기호와 상징
5. ‘트로이차’와 ‘장승(벅수)·솟대’의 유사성과 변별성
6. 맺는 말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환(Kim Jeonghwan). (2011).루마니아의 ‘트로이차’와 장승·솟대 비교연구. 동유럽발칸연구, 26 , 231-257

MLA

김정환(Kim Jeonghwan). "루마니아의 ‘트로이차’와 장승·솟대 비교연구." 동유럽발칸연구, 26.(2011): 231-2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