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가의 권리와 제도적 실천

이용수 195

영문명
The Right to Leisure and the Institutional Practice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저자명
심현주(Shim, Hyun-ju)
간행물 정보
『생명연구』제19집, 83~11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세기 선진산업 사회에서 노동시간이 점차로 감축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여가시간은 증가되어왔다. 이런 변화에 따라 여가에 대한 의미는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이해된다. 여가는 단순히 노동으로부터의 해방이나 놀이를 뜻하지 않는다. 산업사회에서 여가는 인간의 기본권으로서 공식적으로 공표되었다. 여가는 사람이 산업사회의 숨 가쁜 일상에서 자신을 되돌아보고 자아를 실현할 수 있게 하는 정신적, 시간적, 활동적 자유이다. 이 자유는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산업사회의 일상에 변화를 요구하는 하나의 중요한 혁명이다. 이 자유는 행복권과 더불어 노동의 당위적 권리를 요구한다. 여가란 사람들이 생존할 수 있는 노동활동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건전한 여가활동을 확산시키기 위한 또 다른 과제는 소비주의 내지는 향락적 여가활동을 부추기는 요인들을 청산하는 것이다. 이 요인들은 여가를 통해 사회의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결국 여가, 곧 자유의 혁명은 진정한 복지사회를 요구한다. 진정한 복지란 물질적 부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그것은‘참살이’다. 진정한 복지사회를 확립하려면, 산업사회의 구조를 개선하고 ‘참살이’에 대한 전망을 심화하는 제도적 실천이 반드시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of the 20th century working hours have been gradually reducing, thus leisure time has been relatively increasing. By these change the sense of leisure is understood more affirmative and active than last years. Now leisure means merely not the recreation or liberation from labor. In industrial society leisure is declared as a fundamental human right. Leisure is the freedom of spirituality, activity and time, what enables man to self-examination and self-realization in the breathless daily life of the industrial society. This freedom is a primary revolution, because that demands not only a change of private life but also of public life of industrial society. The fundamental right to leisure provides the environment, in that man can regain the severed relations with self, family, nature and society. That right also provides the time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self-cultivation. These opportunities guarantee the right to happiness and the natural right to labor at the same time. Labor for human existence is the basic premise for leisure. It is actually presented, that a reason of the greatest difficulty why man can't enjoy leisure is the lack of leisure expense.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leisure lies in the same context of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labor, and it needs to clear discriminate between the labor and leisure time. There is another task for the establishment of healthy leisure activities, that is the liquidation of the some factors, what incite consumption and hedonic leisure activities. These factors can give man an idea, that free time is dispensable or the extravagance of the rich. This phenomenon plays a role to the deeping of social polarization through leisure. In conclusion, leisure, the revolution of freedom demands a truly welfare society. The purpose of that welfare is not only to augment material riches, but preferentially to execute the hope of ‘Well-Being’. For the establishment of this welfare society is necessarily needed the institutional practice, there man can improve the structure of industrial society and prospects of ‘well-being’.

목차

I. 서론
II. 여가의 권리와 노동
III. 여가의 개념과 관점
IV. 여가권 확산을 위한 제도적 실천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현주(Shim, Hyun-ju). (2011).여가의 권리와 제도적 실천. 생명연구, 19 , 83-114

MLA

심현주(Shim, Hyun-ju). "여가의 권리와 제도적 실천." 생명연구, 19.(2011): 83-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