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아실현의 관점에서 본 친생명교육

이용수 192

영문명
Pro-lif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alization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저자명
박종대(Pak, Chong-tai)
간행물 정보
『생명연구』제19집, 11~4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대학생의 생명을 위한 교육을 자아실현의 관점과 연결하여 이론적으로 논구하고 그 실천적인 방법을 제안하 려는 데에 목적을 둔다. 나는 우선 삶의 목적, 자아실현, 행복개념 등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다음으로 전통적 및 현대적 덕목들이 자아실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긍정 심리학’과 ‘행복 심리학’의 응용가능성을 제시한다. ‘생명개념‘에 관한 정의나 이해방식은 참으로 다양하다. 그러므로 학제적 연구를 통하여 통합적인 이해를 제공해야한다. ’생명현상‘은 생물학을 비롯한 자연과학과 의학 등의 탐구대상이고 ’생명의 본질‘은 철학적 이론과 기타 인문과학의 연구대상이다. 물론 여러 고등 종교에서도 각기 경전과 교리에 토대를 두고 생명의 본질에 대한 질문에 해답을 제공한다. 오늘날 생명의 의의와 존엄성을 드높이려는 교육과 운동에서 내걸고 있는 ’생명의 문화’는 ‘죽음의 문화’의 반대개념이다. 죽음의 문화는 모든 생명을 경시하는 의식과 풍조에서 싹트고 이기주의, 쾌락주의, 물질주의가 그 온상이다. 현대사회에서 만연된 죽음의 문화는 생명의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자의 도덕적 자각과 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생명문화의 건설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의 삶의 방식은 에리히 프롬이 말한 대로 ‘소유의 삶’이 아니라 ‘존재의 삶’이어야 할 것이다. 생명을 위한 교육은 교양교육의 범위에서 모든 대학생들에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designed to theoretically discuss pro‐life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alization and to propose practical measures. First examined will be the relationship among objectives of life, self‐realization and the concept of happiness. Based on the examination, possibilities of applying “positive psychology” and “psychology of happiness” will be demonstrated as concrete measures to utilize conventional and modern virtues in achieving self‐realization. Considering that different studies have reached different definitions of the “concept of lif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through consilient research. The “phenomenon of life” is the subject on which natural science, including biology, and medicine fields have studied, and the “nature of life” has been that of philosophy and other humanities. Most advanced religions have also provided solutions to the question of the nature of life, based on their own scripture and theories. The “culture of life” that today's education and movements proclaim to promote the importance and dignity of life stands at the opposite side of the spectrum from the “culture of death,” which is born by the attitude of devaluing life, and raised by egoism, hedonism and materialism. It is time that the “life culture” should replace the “death culture” that is prevalent in the modern society. To this end, it is required to spur to nourish the culture of life by morally enlightening ourselves and improving social institutions. As Erich Fromm said, the way of our life shall be a “life to be”, not a “life to possess.” It is desirable to provide pro‐life education to all college students as a general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몸말
Ⅲ.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대(Pak, Chong-tai). (2011).자아실현의 관점에서 본 친생명교육. 생명연구, 19 , 11-48

MLA

박종대(Pak, Chong-tai). "자아실현의 관점에서 본 친생명교육." 생명연구, 19.(2011): 1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