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이용수 636

영문명
The Image of Jeong Mong-ju(鄭夢周) in Early Joseon Silrok History in Literature
발행기관
포은학회
저자명
김호동(Kim, Ho-dong)
간행물 정보
『포은학연구』제6집, 63~9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려말 공양왕 옹립이후 정몽주는 태조 이성계-태종 이방원 부자와 정도전.조준 등과 사활을 걸고 대립하였지만 결국 선죽교에서 피를 뿌리고 제거당하다. 그렇지만 자신이 거부하였던 신왕조, 즉 조선조에 '以身殉國'한 충절과 儒宗으로 추숭되어 문묘에 종사됨으로써 화려한 부활을 하였다. 조선전기의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태조대에서 세종대까지 不事二君한 충절의 표상으로서의 정몽주상이 정립되었다. 그것을 바탕으로 정몽주의 충절이 높이 평가되어 중종대에 정몽주의 문묘종사가 이루어졌다. 세조의 쿠데타와 중종반정, 연이은 사화로 인해 군신 간, 신하 사이에 대립, 갈등이 노정되는 상황에서 태조-태종 부자와 정도전.조준 등의 개혁파와 반목을 하면서 끝내 태조를 제거하고자 하였던 정몽주를 문묘에 종사시키지 않을 수 없었던 상황을 "정몽주는 우리나라의 원수와 같습니다. 그러나 이 사람을 褒奬하고 존숭하여야 綱常이 크게 밝아집니다"라고 한 권벌이나 "정몽주가 태조에 대하여 이와 같이 해를 입혔으니, 이것으로써 말한다면 과연 원수와 같다. 그러나 지금으로는 이 사람을 褒奬한 뒤에야 나라의 規範을 세울 수 있다."고 한 중종의 인식은 태종이 정몽주를 영의정으로 추증한 태종의 인식도 그와 같았을 것이다. 강상과 나라의 규범을 확립하는데 정몽주만한 인물이 없었기 때문이다. 사림파에 의하여 고조되었던 節義와 명분론은 17세기 인조반정과 호란을 계기로 서인이 집권하면서부터 더욱 숭상되었다. 결국 여말의 변절자와 15세기의 훈구파가 격하되고 상대적으로 왕조교체기에 '不事二君'의 정몽조.길재와 같은 절의파와 세조등극을 반대하던 인사가 숭앙의 대상이 되자 17세기이후 사족들은 자기 선조를 그러한 충절과 결부시켜 국가적 포숭을 받고자 하였다. 그런 목적하에서 자신의 선조를 정몽주와 연결시키고 또 정몽주의 후손의 발탁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영문 초록

In late Goryo(高麗) Dynasty, Jeong Mong-ju was assassinated in blood at Seonjuk-gyo bridge as he opposed to King Taejo Lee Seong-gae and King Taejong Lee Bang-won the son of Taejo, and Jeong Do-jeon.Cho-jun the nobles had to die after the enthroning of King Gongyang. However, he recovered his honor by Joseon Dynasty which he ever denied to obey and listed the name at Munmyo(Confucius shrine to be commemorated) under the title of 'sacrifice himself with physical body toward nation' and the Confucian fidelity. According to the record of early Joseon Dynasty Silrok, the image and status of Jeong Mong-ju was established as a symbol of fidelity toward royal family from King Taejo to King Taejong as filial fidelity. The memorial ceremony for Jeong Mong-ju at Confucian shrine was started from King Jungjong for his high value of the fidelity Along with the stumbling situation of Coup D'etat by King Saejo and taking over the Crown by King Jungjong, and aftermath of historical reforming event, there was serious conflict among classes and sovereign power. King Taejo-King Taejong the son of King Taejong contradicted to Jeong Do-Jeon.Jo Jun of evolutionary group but they have to enshrined Jeong Mong-ju who revolted to King Taejo and commenting the situation "Jeong Mong-ju is same as enemy of our country. But we have to enlighten and reward him for his establishment of standard of national right and justice." by Scholar Kwon Beol or King Kaejong's refer concerning "Jeong Mong-ju is evaluated as enemy of our nation because of his harm but we have to enlighten and reward him for his establishment of standard of national right and justice." The recognition of King Jungjong might be same to the recognition of King Taejong who admitted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to Jeong Mong-ju as Prime Minister. That was because of no comparative persons as Jeong Mong-ju who established the standard of national right and justice. The discussion on fidelity and justification which highly spirited by Scholastics Party(士林: Sarim) during 17th century was more esteemed after taking over the throne by King Injo and the War between Choseon and Chin Dynasty, which strengthen the power of Western Party(西人: Seoin). As a result, the apostasy group and conservative group in 15th century of late Goryo Dynasty were doomed to collapse and fidelity groups such as Jeong Mong-ju.Kiljae who insisted fidelity to previous king and the persons who opposed the policy of enthrone of King Saejo were esteemed comparatively, which resulted national reward by the descendants of the previous fidelity groups after 17th century. For the purpose of the national rewards, the Scholastic Party(Sarim) and Western Party(西人: Seoin) suggested the national reward relating their ancestors to Jeong Mong-ju of whom the descendants were recommended as major position of the government.

목차

1. 머리말
2.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鄭夢周像
3.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호동(Kim, Ho-dong). (2010).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포은학연구, 6 , 63-98

MLA

김호동(Kim, Ho-dong).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포은학연구, 6.(2010): 63-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