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圃隱 鄭先生의 生涯와 禮學思想

이용수 125

영문명
The Study of Poeun Jeong Mong-ju's Scholastic Works and Confucius Ideology
발행기관
포은학회
저자명
金時晃(Kim, Si-hwang)
간행물 정보
『포은학연구』제6집, 5~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圃隱 鄭先生의 事跡을 알고자 한다면 제일 먼저 鄭麟趾의 『高麗史』나 金宗瑞의 『高麗史節要』를 살펴보지 않을 수는 없다. 圃隱이 졸하고 1910년까지 『圃隱集』이 刊行된 것이 14차례이고, 近代에 와서도 여러 차례 刊行되었지만 圃隱 先生의 學問的 政治的 思想的 敎育的인 위대한 功績에 비해 文集 內容을 보면 先生의 著述이 몇 十分의 一도 안될 것이라는 생각을 누구나 하지 않을 수 없는 實情이다. 그러니 일은 매우 狼狽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最近에 圃隱學會가 創設되어 多方面의 硏究가 이루어져 많은 論文과 著述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本稿에서는 우선 先生의 年譜考異를 檢討하여 生涯의 大略을 알아보고 나아가 선생의 學問의 大綱과 禮學思想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선생은 慕聖賢之學 東方理學之祖로, 恭愍王 16년 丁未(1367) 先生31歲 때에 禮曹正郞으로서 成均館 博士를 겸하였는데 牧隱 李穡 선생으로부터 東方理學之祖라는 評價를 받았다. 宋尤庵 先生이 撰한 圃隱 先生 神道碑銘에 言及된 선생 學問의 大綱을 살펴보면 圃隱의 學問을 朱子學의 正統으로 認定하여 그 淵源을 洛建에서 찾고 殷周에까지 올라간다 하였다. 그러므로 선비의 학문을 자기 임무로 삼고, 학문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드시 朱子를 으뜸으로 삼은 것이야말로, 후세의 학자가 다 敬을 주로 하여 근본을 세우고, 이치를 窮究하여 그 아는 것을 지극히 하고, 자신을 돌이켜서 그 실지를 밟아가게 한 것이다. 이 세 가지는 聖學의 요체이니, 그 공은 아무도 짝할 수 없다 하였다. 선생의 禮學思想은 첫째, 師弟間의 禮, 둘째, 父母 三年喪 廬墓終制, 셋째, 用家禮立祠堂 而祭祀之禮正, 넷째, 朝聘禮.事大交隣 外交, 다섯째, 君臣의 禮.精忠大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朝鮮 太宗時 陽村 權近 先生의 褒節義之士 上書가 允下되었고, 太學生 權磌 等 請從祀文廟疏가 있어서 朝廷의 褒贈과 文廟從祀가 이루어졌다. 太學生 權磌 等의 請從祀文廟疏略 및 沖齋 權橃 先生의 祭文忠公 圃隱鄭先生 古里碑前文을 명기해 두었다.

영문 초록

If one wants to know Poeun Jeong Mong-ju's historical record, we must read the Koryeosa by Jeong In Ji or KoryeosaJeolyo by Kim Jong Seo. Since Poeun died, Poeunjib had been published fourteentimes until 1910, and it has been published for several times recently, but given Poeun's great scholastic, political, ideological and educational achievement, his own writing in the literary collection seems like as mallportion. Therefore, it is a predicament. In this essay, first, his historical record is reviewed to summarize his life, and inquires the outline of his scholastic works and Confucius ideology. Fortunately, the Poeun Society is founded recently, and many papers are being written through diverse researches. It is expected that younger scholars will continue to study more.

목차

1. 머리말
2. 先生 年譜考異 抄錄
3. 先生의 學問
4.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時晃(Kim, Si-hwang). (2010).圃隱 鄭先生의 生涯와 禮學思想. 포은학연구, 6 , 5-34

MLA

金時晃(Kim, Si-hwang). "圃隱 鄭先生의 生涯와 禮學思想." 포은학연구, 6.(2010): 5-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