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들의 대학수업 경험을 통한 유아교육전공 실무 능력 향상 PBL 수업모형 개발

이용수 624

영문명
Development of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or improving teaching ability through experience in college-level classes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서혜정(Suh, Hye Jeong)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4권 제4호, 313~34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대학수업 경험을 통한 유아교육전공 실무능력 향상 PBL 수업모형 개발에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PBL 수업 경험이 있는 유아교육 전공자인 유아교사 4인이다. 연구를 위해 2010년 7월 9일부터 10월 2일까지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은 PBL 경험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었는지 살펴보고, PBL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PBL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은 PBL에서 제시된 시나리오로 문제 해결하는 과정이 색다른 강의식 수업의 하나로 한 방향의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이었으며, 작은 실무의 문제를 해결함으로 인해 숲의 나무 하나를 보는듯한 학습이 이루어졌음을 이야기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시나리오 제시와 문제 해결에 대한 질문방법 변화 모색 필요, 사고가 담기지 않은 한 방향인 과제 발표식 수업의 문제점을 반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요구한 PBL 학습요소는 교육관이 기초가 되어야 할 학문으로서 유아교육 전공, 동료와의 대화를 통해 의미 나누기, 대화식 수업으로 이론에 바탕을 둔 실무연결, 정련의 과정으로서 모의수업, 어렵지만 많은 배움이 일어나는 유아적용 시례, 반성의 기회로서 재방문과 교육의 의미 깨닫게 하는 전사하기, 디딤돌이 되는 조별활동, 전문적으로 성장하게 하는 피드백, 과정중심의 평가이다. 이를 바탕으로 tutorial-simulated instruction-practicum의 PBL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의료계통에서 시작되고 활성화된 PBL 수업을 다른 전공에 적용하는 데 전공 특성에 적합한 수업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불어 수업모형은 거시적인 측면에서 수업모형을 바라보는 것이 아닌 미시적인 측면에서 상황적인 수업모형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reat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to enhance teaching ability. The participants are four kindergarten teacher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have taught PB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July, 9 through October 2, 2010. While developing, the participants focused on investigating what the learner’s difficulties are and which learning factors are necessary.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class was so controlled with scenario presented that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seemed like that of getting into right answer. When small problem from real classroom was resolved, the learners felt like they’ve experienced not a forest but a tree. The way scenarios and questions are presented should be varied. Simple minded presentation should contain critical thinking. Second, the PBL factors that participants claimed includ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foundation of educational philosophy, sharing teaching tips through dialog with co-teachers, connecting theory with practice through dialog lesson, simulated instruction, providing case study of pre-schooler as a learning tool, keeping transcripts to catch education meaning and re-play them as a chance of self-reflection, stimulating group activities as a steppingstone, giving proper feedback as a professionally growing process, evaluating not just output but a process. Third, and then the PBL model, tutorial-simulated instruction-practicum, was finally developed. This study implies that since PBL was introduced and activated in medical field, other major field of study should consider its characteristics when applying. A lesson model should be reviewed rather microscopically than macroscopical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혜정(Suh, Hye Jeong). (2010).유아교사들의 대학수업 경험을 통한 유아교육전공 실무 능력 향상 PBL 수업모형 개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4 (4), 313-345

MLA

서혜정(Suh, Hye Jeong). "유아교사들의 대학수업 경험을 통한 유아교육전공 실무 능력 향상 PBL 수업모형 개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4.4(2010): 313-3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