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요 국가의 직업군인을 위한 교육.복지제도 비교 분석 연구
이용수 1237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Army's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Programs of Five Countrie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병찬(Kim Byeong Chan) 정일환(Chung, Il-Hwan)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0권 제4호, 175~20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직업군인의 교육 및 복지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비교적 우수한 직업군인 교육 및 복지제도를 갖추고 있는 미국, 독일, 일본, 대만, 영국 등 다섯 나라의 직업군인 교육 및 복지제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요 국가에서는 직업군인 본인 교육과 관련하여서는 주로 전역 후 직업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군인 가족 지원과 관련해서는 가족 교육을 위한 무상학비지원이 공통적 특징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직업군인 복지제도 측면에서는, 우선 재정적 안정을 위해 연금제도를 공통적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주거지원 측면에서는 안정적 주거를 중요한 문제로 보고 적극적으로 주거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지원 측면에서는 대부분 군인 및 군인가족을 위한 별도의 의료지원기관을 갖추고 있었으며, 여가생활지원 측면에서는 여가생활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직업군인의 교육 및 복지제도 개선을 위해, 직업군인의 교육 및 복지를 전담할 전담 부서 설치가 필요하며, 직업군인의 전역 후를 대비한 직업교육을 좀더 강화할 필요가 있고, 군인 및 군인가족을 위한 별도의 의료지원기관을 확대하고, 군인들의 다양한 여가생활을 위한 여가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my’s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programs of U.S.A, Germany, Japan, Taiwan, and England. For that purpose, We ma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army’s social welfare programs of U.S.A, Germany, Japan, Taiwan, and Englan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The education programs for soldiers of U.S.A, Germany, Japan, Taiwan, and England are focused on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discharged soldiers. And they commonly support the school tuition for soldiers’ children. Based on the lateral view of social welfare for soldiers, those conutries are operating the pension system for soldiers to stabilize the financial livings. They also support the dwelling for soldiers for stable living. Those countries mostly have the hospitals for soldiers and their families. And they expand the supporting for soldiers’ leisure life. From this research, we get some hints for development of Korean soldiers’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system. We need the organization for Korean soldiers’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We need also to reinforce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soldiers. And we have to expand the hospitals for soldiers and their families. We also need to develop the leisure program for soldier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비교 분석의 틀
Ⅲ. 주요 국가의 직업군인을 위한 교육.복지제도
Ⅳ. 논의 : 주요 국가의 직업군인을 위한 교육.복지제도의 특징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의 기본학제 국제 비교 연구
- 외국대학 유치정책 비교 분석
- 미국의 교사자격 기준관리 사례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창의성의 개념적 기준 비교
- 서울시교육청 학교선택권 확대 정책의 실효성 분석
- 독일 교원양성기관 부설학교의 역사적 기원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정보교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주요 국가의 직업군인을 위한 교육.복지제도 비교 분석 연구
- 유럽연합의 볼로냐 프로세스에 따른 한국 고등교육의 도전과제 탐색
- 미국교육복지정책의 변화
- 한국과 일본의 중등교사 전보제도 비교 연구
- 한국 학생들의 생활시간 사용에 대한 비교 연구
- 다양성에 기초한 프랑스 유아교육의 동향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영어교육 제30권 4호 목차
-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초등영어 수업 방안 탐색: 그림책 활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개도국 교원의 디지털 교육역량 향상을 위한 ODA 연수과정 교육요구도 분석: KLIC사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