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전기의 使行 密貿易 硏究

이용수 973

영문명
A study on mission smuggling in the early Chosun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백옥경(Baek, Oak-Kyung)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25집, 3~4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시대의 對明무역에는 명과 조선의 무역 통제정책으로 인하여 자유로운 사무역이 존재하기 어려웠다. 대개는 赴京使行을 통한 조공무역 및 국가적인 차원에서 행하는 공무역 외에는 관행적으로 허용된 소규모의 사행 사무역만 가능할뿐이었다. 그러나 무역에 통제는 결국, 공무역이나 사무역에 불법적으로 편승한 밀무역을 초래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조선전기 밀무역의 전반적인 양상과 그 주도층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조선 후기와의 역사적 연계를 모색하면서, 특히 조선 후기 사행 무역의 중요한 주체로 등장하는 역관들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한 것이었다. 조선시대 密貿易은 체제 내적인 무역과는 달리, 국가의 통제를 벗어난 불법적인 무역형태였다. 사행 밀무역은 대체로 사행 원역들에 의해 공무역과 사무역이恣意的으로 확대되면서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것은 사행과 깊은 관련이 있지만,조공관계 및 국가의 통제 하에서 이루어지던 무역 형태와는 근본적으로 성격이달랐다. 이러한 밀무역은 공․사무역에 假託하여 규정 이상의 數量 혹은 禁物을 가져가서 매매하거나, 상인들이 사행 원역의 奴僕대신 따라가서 직접 무역에 종사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사행 밀무역이 주로 행해지던 공간은 요동 혹은 북경의使臣館이었다. 사행 밀무역의 주도층은 三使, 商人, 譯官 등으로 나타난다. 삼사는 사행의 대표였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무역의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무역을 행하기도 하고, 다른 권력가들의 청탁을 대행하기도 하였다. 이들이 손쉽게 밀무역에 종사할 수 있었던 이유는, 자신들이 권력층이었기 때문에 권력을 매개로 사건을 은폐·비호하거나 처벌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였기 때문인 듯하다. 상인들은 자유로운 대외 사무역이 전면 금지되는 현실을 극복하고 대자본과 상업적인 조직체계를 바탕으로 한 대외무역을 주도하면서 사행 밀무역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역관은 사행 중 통역을 담당하는 것은 물론, 정보 탐지 및 공무역 실무도 전담함으로써, 밀무역의 기회가 많았다. 여기에 더하여 역관은 사행의 조공 물품 수송, 사신 일행의 물품 관리 등의 책임도 지고 있었다. 또한 역관들은 兩都目 遞兒職이기 때문에 녹봉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實職의 1/2에 불과하고, 토지도 지급받지 못한다는 경제적 여건들로 인해 사행 밀무역에 대한 욕구가 더욱 컸다. 그러나 밀무역의 폐단이 거론되고 그에 대한 금령이 강화되면서 밀무역의 주도층 내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금령은 부경사신의 私貿易 禁止, 布物 詳定, 부경사신에게 雜物 주는 것의 금지, 사신 일행에 대한 檢察 强化 등을 주 내용으로 하였다. 그리고 그 목적은 밀무역에 대한 규제와 관리 방침을 세부적으로 마련하여 국가의 확고한 통제정책을 관철시키려 한 것이었다. 이러한 금령의 강화는 밀무역 주도층에서 三使를 퇴조시켰다. 국가의 중대한 使命을 받들고 가서 조심하며 奉職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러지 못했다는 비판이나, 대신으로서 이익을 탐하는 불의한 행위를 한다는 비판을 극복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상인과 역관은 상호 결탁하기도 하지만, 사행 업무의 성격상 무역의 주체는 역관이었기 때문에, 역관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국가도 역관에 대한 통제를 주목하게 된다. 하지만 조선 전기의 역관은 권세가나 富商大賈를 의한 대리 무역 양상을 보이면서 독립적인 경제 활동을 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한편으로는 부를 축적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침탈의 대상으로 존재할 뿐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침탈관계는 역관들의 경험과 부가 축적되면서 점차 극복되고, 독자적인 무역 주체로의 변화 움직임이 나타난다. 이것은 조선 후기의 사행에서 역관들이 당당한 무역 주체로 자리매김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영문 초록

Chosun's trading policy to Ming(China) was influenced by Ming's banning oversea trade. As a result, Chosun's policy could be possible only to be connected with mission to China, and there were three types of trading which were a tribute trade, a public trade and a private trade. These all trading types had been operated under the management and the control of government. But smuggling was a kind of illegal trading type which was out of control from the government. This kind of mission smuggling had come out when the public trade and the private trade was generally expanded by mission members with intention. This had a relation to mission, but the character was bas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trading types to be controled by government and tribute trade. The smuggling was to be transacted with over quantity above regulation or embargo to be consigned to a public trade or private trade, merchants did a trade directly when went along with mission instead of servants. The place where mission smuggling had been mainly done was the embassy in Oydong or in Beijing. Three ambassadors(Samsa), merchants and interpreters had showed up as the main social status which smuggling was done. Samsa, instead of mission delegation, as the core member of trading, not only had actively transacted goods with foreign country, but also had done smuggling requested by other men of power as a agent. They could covered up and protected the crime of smuggling or could relieved the punishment of guilty owing to their power. Interpreters had played a role of interpreting when they do mission as well as had searched an information and had done a public trade with whole responsibility. They also had transported tributary products and had managed products for mission. As a result, they could had lots of opportunities to smuggle. The economic difficulty had tempted them to smuggle for mission with which they resulted from rotating the government office by every 6 months, their opportunities to be able to receive their salary was reduced only a half and moreover they didn't receive estate. Merchants had lead an oversea trade and also had smuggled for mission on the base of big capital and commercial system after conquering their situation which oversea free trade had been prohibited overall. But the main social status had been changed when the problem of smuggling was discussed and the ban of smuggling was reinforced. There were ban of private trade for ambassadors to China, setting up the quantity to trade for textiles, ban to give other goods to ambassadors for China and reinforcement to investigate all mission member etc. The purpose to ban was to carry out the policy to control the oversea trade of government with regulating the smuggling and setting up management in detail. So Samsa had been faded out from the main status of smuggling because of reinforcing these kinds of bans. They could not recovered the criticism not to mission delegation, as the core member of trading, not only had actively transacted goods with foreign country, but also had done smuggling requested by other men of power as a agent. They could covered up and protected the crime of smuggling or could relieved the punishment of guilty owing to their power. Interpreters had played a role of interpreting when they do mission as well as had searched an information and had done a public trade with whole responsibility. They also had transported tributary products and had managed products for mission. As a result, they could had lots of opportunities to smuggle. The economic difficulty had tempted them to smuggle for mission with which they resulted from rotating the government office by every 6 months, their opportunities to be able to receive their salary was reduced only a half and moreover they didn't receive estate.

목차

Ⅰ. 서 론
Ⅱ. 사행 密貿易의 유형
Ⅲ. 사행 밀무역의 主導層
Ⅳ. 사행 밀무역 물품
Ⅴ. 사행 밀무역에 대한 국가 대책의 추이와 주도층의 변화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옥경(Baek, Oak-Kyung). (2006).조선 전기의 使行 密貿易 硏究. 역사문화연구, 25 , 3-40

MLA

백옥경(Baek, Oak-Kyung). "조선 전기의 使行 密貿易 硏究." 역사문화연구, 25.(2006): 3-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