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심상기법이 실어증 환자의 색상 - 대상물간의 연상 및 얼굴부위 명명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01

영문명
The Effect of the Imagery Therapy on the Aphasic's Ability of Associating Objects with Colors and Naming Parts of the Face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고은(Un Ko)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2호, 86~105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7.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심상(心像)을 이용한 새로운 기법이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 시도되었다. 인지신경심리학에 이론적 토대를 두고 있는 심상기법은 환자의 외적 언어가 아닌, 외적 언어를 창출하기 위한 전언어단계(前言語段階), 즉 언어체제에 접근하기 위한 전반적인 인지과정을 재활동화 시키는 데 주력한다. 실험에는 3명을 대상으로 색상과 대상물간의 연상을 심상훈련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구두적 심상기법 접근이 어려운 다른 3명의 중증 환자에게는 도식적(圖式的) 심상기법을 사용하여 얼굴부위 명명과제를 실시하였다. 심상기법을 사용하기 전과 사용 후의 정반응을 비교한 결과 효과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환자의 실어증유형과 장애정도보다는 오히려 환자의 인지체계의 변수가 치료효과에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s of the imagery therapy on the (1) associating object s with color s and (2) naming part s of the face. The application of imagery therapy has it s foundation on the science of cognitive neuropsychology with the aim of activating the cognitive processes before speech . Six aphasic patient s participated in the study . Three of them were trained with association tasks and the other s were trained with naming tasks. Result 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speech performance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condition s. It seems that the important variable regarding the positive effect s is the degree of activation of an imagery perception, not the degree of speech disability or type of aphasi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고찰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은(Un Ko). (2002).심상기법이 실어증 환자의 색상 - 대상물간의 연상 및 얼굴부위 명명능력에 미치는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7 (2), 86-105

MLA

고은(Un Ko). "심상기법이 실어증 환자의 색상 - 대상물간의 연상 및 얼굴부위 명명능력에 미치는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7.2(2002): 86-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