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경언어장애자의 MMN 연구

이용수 231

영문명
Mismatch Negativity of Adults with Neurogenic Speech - Language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박성혜(Sunghye Park) 김진숙(Jinsook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2호, 184~200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7.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Mismatch negativity(MMN)란 높은 확률의 기본음에 연속하여 일어나는 낮은 확률의 변이음에 의해 유발되는 초기 청각사건관련 전위반응이며 집중 없이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임상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환자의 청각 변별과정과 감각기억능력의 측정에 유효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언어장애 성인집단(만 34 - 63세, 10명)과 정상 성인집단(만 30 - 70세, 12명)으로 나누어 주파수를 달리했을 때 유발되는 MMN의 잠복기, 진폭, 범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표준 자극음으로는 주파수를 750 Hz, 자극간 간격은 800 ms, 강도는 75 dB HL로 하였고, 이탈자극음은 주파수를 1000 Hz로 하고, 그 외 조건은 표준 자극음과 동일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정상인에 비해 신경언어장애자의 MMN 진폭 및 범위의 감소가 명백히 나타났다. 신경언어장애자간의 주요 병변에 따른 파간 잠복기는 피질 손상보다 기저핵 손상시 감소된 결과를 보였으며, 뇌경색보다 뇌출혈로 인한 병인의 MMN 범위가 감소하였고, 양반구 손상자보다 좌반구 손상자의 MMN 범위가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The Mismatch Negativity(MMN) is known as the valid measure of the accuracy of central auditory processing in the human brain. The MMN has been documented in a number of studies to disclose neuropathological changes. We recorded and analyzed the MMN latency, amplitude, magnitude between healthy adult s and adult s who had neurogenic speechlanguage disorder s. The MMN was measured in 10 adult s with neurogenic speechlanguage disorder s and 12 healthy adult s with normal hearing. The tones were binaurally presented to the subject s in random order (probability of 0.1 deviant s and 0.9 standards). The standard tone was 750 Hz, 75 dB HL tone bur st stimulus. The deviant tone was similar to the standard tone except the 1000 Hz of frequency. Inter stimulus interval was 800ms. The event - related potential (ERP) was recorded from frontal midline (Fz, active electrode), nasal dor sum (reference electrode), forehead (ground electrode). The MMN onset - offset difference latency of the disorder group was 84.10 ms and normal group was 147.70 ms (p < .05). The MMN amplitude and magnitude of the disorder group was - 0.91 V, 77.37 and the normal group was - 1.96 V, 317.98, respectively (p < .05). In conclusion, the MMN onset - offset difference in latency, amplitude and magnitud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dult s of neurogenic speech- language disorders.

목차

Ⅰ. 서 론
Ⅱ. 실험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혜(Sunghye Park),김진숙(Jinsook Kim). (2002).신경언어장애자의 MMN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7 (2), 184-200

MLA

박성혜(Sunghye Park),김진숙(Jinsook Kim). "신경언어장애자의 MMN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7.2(2002): 184-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