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漢代書論의 서예미학적 분석

이용수 165

영문명
The analysis of Calligraphy Aesthetic of Seoron(書論) in Han(漢) Era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장지훈(JANG, JI-HOON)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11호, 203~22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漢代의 서예이론을 서예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고대로부터 서예의 審美性을 궁구해왔던 근거를 일면 고찰하기 위한 글이다. 서예사에 있어서 漢代는 서예가 실용적 측면에서 점차 예술성이 가미되면서 일정한 예술의 독자적 지위를 구축해가는 시기로 간주된다. 특히 漢代는 許愼의『說文解字』저작과 함께 서예는 문자의 미학적 구조와 연계되어 심미체계의 기반이 형성되었고, 揚雄의 ‘心畵說’을 비롯한 崔瑗과 趙壹의 ‘草書美學觀’, 蔡邕의 ‘書勢論’ 등 전문 書論을 통해 서예심미를 논의한 점은 이 시기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西漢의 양웅이 ‘書爲心畵’란 명제를 제기하면서 서예는 창작주체에 따른 미학적 해석이 가능하기 시작했으며, 허신은 그의 象形說에서 ‘書者如也’란 명제를 통해 서예의 미학적 기반을 창작객체에 두는 등 관점에 따라 서예심미에 관한 논의가 다양해졌다. 그리하여 최원은 動靜의 勢를 통해 초서의 실용성과 심미성을 연계시켜 이해했으며, 조일은 당시 초서의 유행이 과도한 풍조에 대해 비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心․ 手․ 書合一의 서예미학관을 제기함으로써 후대 ‘心手相應說’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아울러 채옹은 易哲學的사유와 연계하여 ‘서예는 자연에서 비롯되었다’는 명제를 제기함으로써 易의 음양변화와 역동성을 구체적인 서예미학으로 승화시켰다. 이처럼 漢代의 書論은 先秦이후 서예의 심미적 경계를 형성하고 이론적 체계를 구축했으며, ‘勢’라는 역동성을 강조하는 漢나라 특유의 서예심미를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서예의 이념적 근거를 단편적이나마 제시한 漢代의 書論은 고대의 서예문화적 기반 위에 서예의 미학적 기초를 마련했으며, 후대 서예미학의 심층적 발전에도 기저가 되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Han(漢) Era can be said to be when calligraphy took its independent artistic status as its practicability focusing on communication was converted to artistic tendency. Especially, with the advent of Heo Shin(許愼)'s『說文解學』calligraphy constructed its aesthetic base in link with the aesthetic structure of letter, followed by a flood of aesthetic findings such as Yang Woong(揚雄)'s ‘Shimhwaseol(心畵說)', Heo Shin(許愼)'s ‘Sanghyeongseol(象形說)', Choi Won(崔瑗) and Jo Il(趙壹)'s ‘草書美學觀', Chae Ong(蔡邕)'s ‘Seoseron(書勢論)', Some of these calligraphy writings foretold the scholarly shift of calligraphy after Seonjin(先秦) Era, and has its significance that it created peculiar aesthetic norm of Han(漢) Era highlighting the dynamics called ‘Se(勢)'. The aesthetic foundation of calligraphy can not be discriminated from the principles of Jooyeok (周易) constantly forming and changing, which is the steady acceptance and application of the logic of natural philosophy and principles of positive and negative in Seonjin(先秦) Era. Chae Ong(蔡邕)'s proposition ‘calligraphy was derived from nature' representing its example, is concentrated to Jooyeok(周易) thought, and it is the product of aesthetic sense subliming the change and dynamics of positive and negative principles to concrete art. Thus Seoron(書論)s In Han(漢) Era fragmentarily suggesting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calligraphy can be said to those leading the social and ideological basis of then artistic world, and predicted the artistic development of calligraphy by being calligraphy aesthetics.

목차

Ⅰ. 緖論
Ⅱ. 許愼의 象形說에 나타난 美意識
Ⅲ. 崔瑗의 草書美學觀
Ⅳ. 趙壹의 書藝批評精神
Ⅴ. 蔡邕의 神․ 勢․ 形의 美學關係論
Ⅵ.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지훈(JANG, JI-HOON). (2007).漢代書論의 서예미학적 분석. 서예학연구, (11), 203-222

MLA

장지훈(JANG, JI-HOON). "漢代書論의 서예미학적 분석." 서예학연구, .11(2007): 203-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