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黃庭堅書藝精神의 禪家美學的考察

이용수 109

영문명
A Study on the Seon Aestheticism in the Calligraphy of Huang Tingjian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황순미(Hwang, Soon-Mi)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11호, 223~24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黃庭堅은 儒․ 佛․ 道를 融合한 北宋의 서예가이자 문학가로 蘇軾․ 米芾․ 蔡襄과 함께 북송 4대 서예가에 속하는 인물이다. 그는 禪家의 師承관계로 볼 때 臨濟宗의 黃龍波에 속했지만 早期의 禪學遺産을 發掘하고 이를 수용함으로써 北宗의 神秀와 같은 길을 걸을 때도 많이 있었다. 이는 儒佛道를 융합하고자 한 황정견의 시각에서 조기의 선학정신이 儒家의 ‘正心誠意’와 더욱 잘 통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황정견은 문학적 표현에 있어서 선학적인 요소를 중시하였을 뿐만아니라 서예의 이론에서도 頓悟와 韻味및 活法등을 함께 강조하였다. 황정견은 ‘以禪喩書’ ․ ‘以禪入書’를 실현하였는데 그의 書藝美學精神은 有殺有活․ 句中有眼․ 字中有筆등에서 표현된다. 그는 書評에서 佛家의 ‘中道’의 개념으로 '活’의 정신을 體現할 것을 주장하였다. 황정견의 書藝美學은 三反境界․ 韻勝境界․ 脫俗境界등의 경계로 표현할 수있다. 三反境界는 불교 언어인 遊戱三昧에서 기원하였다. 그리고 韻勝境界는 心性本體에서 기원하였는데, 황정견은 心性本體의 韻勝境界로 서예의 ‘韻’을 선종의 ‘三眼’ ․ ‘三玄’으로 해석하였으며, 역대의 서예가를 品評하였고, 宋代의 尙意書風을 이끌어 나갔던 것이다. 황정견이 추구하는 脫俗境界는 抖擻俗塵에서 기원한 것으로 세속적 욕망을 털어버리고 淸淨의 경계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抖擻俗氣’는 황정견의 漸修의 사상을 말해주고 있다. 선종의 이론에 입각한 황정견은 특히 草書에서 張旭과 懷素의 서예에 대하여 비판적인 소식과 다른 입장을 보였으며, 결국 그는 俗塵을 털어 버리고 독특한 창신력으로 抖擻俗氣와 탈속경계를 실현함으로써 초서에서 시대의 일인자가 되었다.

영문 초록

Huang Tingjian is a great calligrapher and a man of letters of Northern Song who sought after in his art a unity between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As a calligrapher, he is admired as one of the four great masters of Northern Song along with Su Shi, Mi Fei and Cai Xiang while as an ardent follower of Seon (‘Zen’ in Japanese, or ‘Chan’ in Chinese) Buddhism. He regarded Seon elements highly in his literary works,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sudden enlightenment’, ‘taste of rhymes’ and ‘the law of vitality’ in his theory of calligraphy. Huang is widely regarded as an artists who realized the artistic merit of ‘comparing calligraphy with Seon’ or ‘entering calligraphy with Seon’, and his unique aesthetic belief is expressed in the ideas, ‘both killing and living exist’, ‘eyes exist in the middle of a phrase’ and ‘a brush stroke is in the middle of a character’. Meanwhile, he asserted in a critical essay that a calligrapher should be able to materialize the spirit of ‘giving life’ in a work by using the Buddhist concept of ‘Middle Way’. Huang's aestheticism can be better defined with the phrases such as ‘three opposite realms’, ‘a realm in which rhymes form the supreme value’ and ‘a realm which is beyond profanity’. The first of these three ideas came from a Buddhist idiom meaning ‘joy in samadhi’ while the second goes back to, ‘human nature is the reality’. It is the latter that led him to seek after the calligraphic style based on the tradition of Song literati elites who regarded meaning as the highest value. The third realm Huang sought after is originated from the idea of ‘shaking off dirt and profanity’,guiding us from worldly desires to the pure land. A great calligrapher and art theorist based on Seon Buddhism, Huang Tingjian maintained a different attitude towards the ‘grass script’ style from that of Su Shi who criticised the art of Zhang Xu and Huai Su. He had finally successfully ‘shook off the dirt and profanity’ from his art, succeeded in ‘freeing himself from profane energy’ and the realm of worldliness, thus becoming the greatest calligrapher in the grass script category

목차

Ⅰ. 序論
Ⅱ. 以禪喩書․ 以禪入書의 禪學美學精神
Ⅲ.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순미(Hwang, Soon-Mi). (2007).黃庭堅書藝精神의 禪家美學的考察. 서예학연구, (11), 223-249

MLA

황순미(Hwang, Soon-Mi). "黃庭堅書藝精神의 禪家美學的考察." 서예학연구, .11(2007): 223-2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