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道岬寺觀世音菩薩32應身圖> 畵記의 서체 분석

이용수 375

영문명
The Analysis of Calligraphic Style in the Picture Writings of the Thirty-two Appearing Scenes Picture of the Merciful Goddess in Dogapsa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이승연(Lee, Seoung-Youn)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11호, 77~10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道岬寺觀世音菩薩32應身圖>는 회화사뿐만 아니라 조선 중기의 서체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서예사적 자료이다. 불화에 寫經이나 畵記가 적힌 문화사적 사료는 매우 중요하며, 이 불화에는 42개의 화기에 총 483字가 쓰여져 있다. 그 내용은 그림의 소재인『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에 의거한 觀音의 32應身之處를 표현한 장면마다 그 내용을 적은 것으로, 응신지처는 所應의 중생상과 그와 관계되는 관음이 여러 모습으로 변화한 장면을 산수기법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는 명종5년(1550)에 공의왕대비가 인종의 명복을 빌기 위해 화원 李自實로 하여금 그림을 그리게 하여 全南靈巖郡西面道岬里에 있는 도갑사의 금당에 봉안했던 불화로, 현재는 일본 知恩院에 소장되어 있어 자료의 공개가 어려웠기 때문에 연구가 미진하였으나 2005년 국내에서의 모사복원사업으로 인하여 원래의 소장처였던 도갑사에 복원작품을 모시게 되어 본고의 연구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는 회화사의 본격적인 연구와 더불어 서예사적인 측면에서도 깊이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서체 분석을 통한 화기의 서체 특징을 살피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이 화기가 쓰여진 16세기 중반의 서체의 흐름은 고려말에 유입된 송설체의 영향을 벗어나고 있던 때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연미한 송설체의 서풍이 성리학자들이 추구하는 근엄단정함과는 거리가 있어 다시 왕희지체로의 복귀가 서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이 명문의 서체 또한 姸媚한 송설체에서 典雅한 풍격의 왕희지체로의 복귀를 주장하던 시대적 서풍의 영향아래, 魏晉의 서풍과 더불어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유행하였던 唐의 서예가인 歐陽詢․ 褚遂良․ 顔眞卿서체의 자형과 元의 서예가인 趙孟頫의 필획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서사자 특유의 독창적인 서체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화기의 서체 분석을 통하여 당시의 서예 흐름이 외형미 위주의 글씨보다 고격의 필의를 찾으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이 시기의 사경 서체 또한 서예사와 같은 흐름과 방향으로 흐르고 있어서 억불정책으로 인한 불화와 사경의 제작량은 고려보다 적었지만 서사자의 수준은 상당히 높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화기의 서체에는 같은 동일자의 변화 추구와 점획간의 자형 변화, 다양한자체와 서체의 혼용을 통한 중화미와 균형미를 적절히 표현해 내고 있으며, 표현양식에서 자칫 단순하여 천편일률적인 느낌을 줄 수 있는 사경서체의 한계성에서 벗어나 점획을 자유롭게 구사하는 서사능력을 발휘하여 응신도의 주제와 잘 어울리는 畵題로서의 성격을 잘 표현해 내고 있다. 이는 국왕이나 왕실 발원의 불화제작과 사경에 당대 최고의 화사나 서사자가 불화작업에 동원되었기 때문에 이 명문을 쓴 서사자 또한 서예에 대한 체계적인 공부와 숙련이 쌓인 당대 최고의 명서가나 경필사가 쓴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회화적인 안목과 수준도 또한 겸비한 서가였음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Thirty-two Appearing Scenes Picture of the Merciful Goddess in Dogapsa(道岬寺觀世音菩薩32應身圖) is the very important material for the calligraphic history in which we can guess the history of pictures as well as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middle period of Chosun. The Buddhist picture in which has copies from sutras(經典) and picture writings are very important as the materials for the history of culture. By the way, this Buddhist picture has 42pieces of picture writing and 483 characters. The content is writings of each 32 appearing places of the Merciful Goddess on the basis of Myobeopyeonhwagyeong(妙法蓮華經)and Gwanseeumbosal- bomunpum(觀世音菩薩普門品). And the places describe the various shapes of human being in the various circumstances, the various places or time. The picture shows us changing scenes into diverse shapes by drawing the landscape painting. Moreover, the picture remained the picture writings every scene. In 1550(明宗5年), Queen Mother Gongeui(公儀王大妃) asked an artist Yi, Ja-sil(李自實) to draw a picture for the purpose to pray for the repose of Injong's soul. And the picture was enshrined in the Buddhist temple Dopgapsa(道岬寺) which is located in Dogap-ri, Seo-myeon,Yeongam-gun,Jeonnam.(全南靈巖郡西面道岬里) But at present time, this picture is possessed by Jieunwon(知恩院) in Japan. By that reason, the public view of materials was difficult until now, and the study on it was very slow. It is fortunate that the picture was recently restored by the restoration project of the original picture in 2005 and was dedicated to Dogapsa which had owned from the first, and this condition made my thesis possible as well. And also ,the condition brought up the necessity of deep research in the side of the calligraphic history with earnest researches into the history of picture. So I tri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lligraphic style in the picture writing through the analysis of calligraphic styles. In general, the picture writing was written in the mid-sixteenth century. The current of calligraphic style of that time was coming out of the influence of Songseolche, which was flown in the end of Koryeo. But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of the calligraphic style between the gorgeous style of Songseolche and the decorum of Confucian philosopher(性理學者). And so the return to the style of Wang Hui-ji(王羲之) was carried out slowly again. Also, this picture writing was influenced by the current of calligraphic style which was advocated to return to the style of Wanghuiji(王羲之體) at that time. And the picture writing constituted the complex of type of character of Guyangsoon(歐陽詢體), writing strokes of Gersuryang(褚遂良),Ahnjingyeong(顔眞卿) and Jomaengboo(趙孟頫) with the calligraphic style of Wijin(魏晉). That is, the picture writing showed us a fruit of creative calligraphic style of the greatest copyists. Through the analysis of calligraphic style of picture writing we can realize that there was a movement to search for the noble meaning rather than the external beauty-oriented characters in the tendency of calligraphy. Besides, the writing style of copies from sutras ran to the same direction as the tendency of calligraphic history at that time. But the amount of copies from sutras or Buddhist picture was less than Koryeo because of the suppressive Buddhism policy. In spite of that, the level of copyists was considerably high. The reason was due to offering to the kings or royal family, and due to the mass production of Buddhist picture by mobilization of the best paints or the best copyist of Buddhist picture project in those days. Copyists of the day were the best calligraphers of the highest level and had eyes for calligraphic picture. They didn`t only study systematically and store up knowledge of skills at that time, but also they had the seeing eye for paintings at the same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중기의 서예 흐름과 寫經書體
Ⅲ. 畵記의 서체 특징
IV .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연(Lee, Seoung-Youn). (2007).<道岬寺觀世音菩薩32應身圖> 畵記의 서체 분석. 서예학연구, (11), 77-108

MLA

이승연(Lee, Seoung-Youn). "<道岬寺觀世音菩薩32應身圖> 畵記의 서체 분석." 서예학연구, .11(2007): 77-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