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景德傳燈錄』에 나타난 ‘將’字용법 연구

이용수 46

영문명
Study on the usage of ‘jiang(將)’ in 『JingDeChuanDengLu(景德傳燈錄)』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김애라(Kim, Ae-ra)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25호, 7~4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4.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景德傳燈錄』이 漢語史연구에 있어서 특별히 주목을 받는 까닭은 이 시기 樿宗 語錄의 언어학적 지위 때문이다. 선종 어록은 唐代와 北宋때 가장 성행하였고, 그 당시의 입말[口語]을충실히 반영하고 있어서 漢語연구의 매우 중요한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표적인 선종 어록인 『景德傳燈錄』을 대상으로, 그 안에서 여러 품사로 쓰인 ‘將’의 용법 및 ‘將’의 의미를 통한 품사전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景德傳燈錄』에서의 ‘將’의 역할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景德傳燈錄』에서 ‘將’은 품사별로 명사, 부사, 동사, 전치사, 조사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의미와 용법으로 쓰이며, 이중 전치사와 부사의 의미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이들 품사에 대해 각각의 기준을 마련하여 의미별 쓰임을 살펴보고 형식 유형을 나누어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하나의 어휘가 다양한 품사로 사용되는 중국어의 다품사 현상에 착안하여 쓰였으며, 『景德傳燈錄』‘將’의 용법을 통해 중국어의 수많은 다품사 어휘에 대한 기초적인 인식을 마련하고, 문헌 해석 시 품사별 문장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景德傳燈錄』에서의 ‘將’에 대한 품사별 의미와 기능, 문장 구조 형식 등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면, 이를 통해 『景德傳燈錄』뿐만 아니라 근대한어 문헌에서의 ‘將’의 역할에 대해 다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고, 올바른 문장 해석 에도 보탬이 될 거라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e reason why 『JingDeChuanDengLu(景德傳燈錄)』 has come into the spotlight, in particular for the study on the history of Chinese language, is the linguistic status of Zen Dialogues(樿宗 語錄)in the same age. Zen Dialogues are most prevalent in the Tang(唐代) and Beisong(北宗) Dynasty, reflecting those ages'spoken language enough to be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subject for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Chinese language. The paper studies the role and meaning of ‘將(jiang)’ in the sentences from ‘JingDeChuanDengLu’, one of the representative Zen Dialogues, by searching for the usage of ‘Jiang’ used as different parts of speech and its transformation as a part of speech depending on its several meanings. The word ‘Jiang,’ as used in the old literature , has several meanings and usages according to its parts of speech such as noun, adverb, verb, preposition, postposition, etc, among which it is most frequently used as a preposition and an ad-verb.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ses “jiang" in its different lexical roles in order to analyze its meaning. As a verb, ‘]lang’ means ‘possess’ or ‘bring or take' so that the verb tends to be placed before mostly directional 10comotion verbs. Focused on this fact. the author makes the formula of ‘jiang+ (Object) + Verb’ a base and in turn classifies it into two formulas of ‘jiang+ (Object) +來/去(lai/qu)’ and ‘jiang+ (Object) +verbs other than 來/去(lai/qu)’. In addition , the case that the postpositions of '得(de) ’ and '取 (qu) is placed after ‘Jiang’ is sorted into the type, ‘jiang+postposition + (Object) + Verb’. As a preposition, ‘]lang’ indicates a tool, means or method of action, or plays a role in leading a target of action in the inverted sentence, one of the special syntaxes of the Chinese language. As a postposition, ‘Jiang’ is used according to the formula of ‘Verb+jiang+ (Object) +來/去(lai/qu) ’ in which ‘來(lai)’ and ‘去(qu) ‘ are used as a complement providing a direction to a verb placed in front of it. As an adverb, ‘]lang’ is used as a demonstrative adverb to indicate when a certain thing happens, which is sorted out into both categories related to the future tense and the present progressive form. When used as a noun, ‘jiang' has clear meanings different from the cases in which it is used as other parts of speech. These noun -meanings include 'army general' and ‘time to come. The author writes this paper concentrating on the phenomenon of the usage of words written as different parts of speech in the Chinese language, and desires to prepare a basic framework for the understanding of those multiused words and introduce the method to analyze Chinese sentences depending on the words used as several parts of speech while interpreting Chinese literature. The author believes that if one comes to grasp the exact meaning, function and sentence structure of ‘Jiang’ based on its use as different parts of speech appearing in JingDeChuanDengLu, he or she can prepare for ground to examine many-sided dimensions of the role of the word ‘Jiang’ used in modern Chinese literature as well as JingDeChuanDengLu, which is further useful for the proper interpretation of Chinese sentences.

목차

I . 머리말
Ⅱ. 동사‘將’
Ⅲ. 전치사‘將’
Ⅳ. 조사‘將’
Ⅴ. 부사‘將’
Ⅵ. 명사‘將’
Ⅶ.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애라(Kim, Ae-ra). (2010).『景德傳燈錄』에 나타난 ‘將’字용법 연구. 불교학연구, (25), 7-48

MLA

김애라(Kim, Ae-ra). "『景德傳燈錄』에 나타난 ‘將’字용법 연구." 불교학연구, .25(2010): 7-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