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도적 의정과 주체적 의정의 구분으로 살펴본 지눌의 깨달음 과정 검토

이용수 204

영문명
The Course to Awakening in Chinul’s Thought: an Examin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Intentional and Subjective Raising of Yiqing(疑情)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이상호(Lee, Sang-ho)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25호, 81~133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4.30
9,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존 연구에서 간화선의 의정은 화두에 대한 의정으로만 간주하고 연구되어져 왔다. 이 논문에서는 주체적 의정과 의도적 의정으로 나누어서 고찰하고자 한다. 주체적 의정은 생사와 같은 근원적인 문제의식이고 그 특정은 번뇌성이다. 의도적 의정은 화두에 대한 의정이며 그 특징은 청정성이다. 이와 같이 의정을 구분하는 이유는 수행의 주체적 입장에서 수행 심리적 현상을 분석하고, 그의 수행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두 의정의 관계는 대립,충돌,융합으로 나타난다. 대립과 충돌은 의정의 조화를 이루지 못한 상태이고 융합은 서로 조화를 이룬상태이다.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의 깨달음은 두 단계의 깨달음으로 볼 수 있다. 첫째는 간화선 사상을 알기 전에 ‘주체적 의정에 의(依)한 깨달음’이다. 둘째는 간화선 사상을 알고 난 후에 ‘주체적 의정에 대(對)한깨달음’이다. 주체적 의정에 의한 깨달음은 주체적 의정 에 의해서 수행을 해 나간 것이고, 선문과 교문에서 깨달음을 얻은것이다. 주체적 의정에 대한 깨달음은 주체적 의정, 그 자체를 깨닫고서 그것으로부터 벗어난 것이며, 『대혜어록』을 보면서 깨달음을 얻은 것이다. 지눌이 경험한 주체적 의정과 의도적 의정의 만남은 지눌의 간화선의 특징이다. 즉, 지눌은 주체적 의정에 의한 깨달음을 긍정하였다. 그리고 화두에 대한 의도적 의정으로써 주체적 의정을 객관화시켜서 궁극적으로는 의정 그 자체로부터 벗어나게 만든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영문 초록

Previous research on the kanhwason 看話禪 practice has only considered the Yiqing(疑情) raising concerning the hwadu 話頭. This paper distinguishes and examines two kinds of Yiqing raising: the subjective(主體的) and the intentional(意圖的) one. Subjective Yiqing raising is concerned with the awareness of fundamental problems Such as life and death, and characterized by life’s defiled nature(慎惱性). Intentional Yiqing raising is concerned with hwadus and characterized by its pure nature(淸凈性). The reas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two kinds of Yiqing raising is the need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phenomena of practice and understand its course from a subjective view point. These two types of Yiqing raising may be in a relation of opposition, conflict or amalgationc (融合), While opposition and conflict are states of disharmony, the state of unity is one of mutual harmonization. The awakening of Master Pojo Chinul(普照知訥1158-1210) may be understood as two stepped. The first step , before he knew kanhwason doctrine , was an awakening relying upon(依) subjective Yiqing raising. The second step, after the Master encountered kanhwason doctrine, was an awakening concerning(對) subjective Yiqing raising. The awakening re lying upon subjective doubt raising took place at the level of both the meditative(禪門) and the scriptural(敎)門. The awakening concerning subjective Yiqing raising was an awakeningto the nature of subjective Yiqing raising and a liberation from it , achieved as he was reading the Record of Master Taehye Chonggo(大慧宗果1089-1163). The encounter of subjective and intentional Yiqing raising experienced by Chinul is the characteristic of his kanhwason. This means that Chinul acknowledged the value of an awakening achieved through subjective Yiqing raising. Chinul has also demonstrated that intentional Yiqing raising about the hwadu allows the objectification of subjective Yiqing raising and, ultimately, the overcoming of Yiqing raising itself.

목차

I .서론
II. 의정의 구분과상호관계
III. 지눌의 수행과정에보이는주체적 의정과의도적 의정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호(Lee, Sang-ho). (2010).의도적 의정과 주체적 의정의 구분으로 살펴본 지눌의 깨달음 과정 검토. 불교학연구, (25), 81-133

MLA

이상호(Lee, Sang-ho). "의도적 의정과 주체적 의정의 구분으로 살펴본 지눌의 깨달음 과정 검토." 불교학연구, .25(2010): 81-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