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루치안 블라가(Lucian Blaga)의『文化三部作Trilogia Culturii』에 대한 해석과 비평

이용수 66

영문명
Interpretation on 『Spaţul Mioritic』from『Trilogy of Culture-Trilogia Culturii』of Lucian Blaga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이호창(Lee, Ho-Chang)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연구 제16권,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Lucian Blaga(루치안 블라가)의 『문화 삼부작』중 제 2부인 <미오리짜의 공간>은 제 1부 <지평과 양식>에서 소개한 ‘양식의 모체’이론을 자신의 모국인 루마니아의 민족 문화를 설명하는데 적용시켜 놓은 실제적 연구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이 저서는 12편의 연구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연구를 이 저서의 제목으로 삼고 있다. “미오리짜의 공간”이라는 연구에서 블라가는 루마니아 문화 속에 녹아있는 공간적 지평으로 민요 <미오리짜 Mioriţa : 어린양> 의 첫 구절을 예로 들고 있다. <미오리짜>는 오랜 옛날부터 루마니아 민족이 사는 곳이면 어디에서든지 불리던 목가풍의 담가(譚歌)로 루마니아 민족의 자연 친화적 심성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담가라 할 수 있다. 이 민요의 첫 구절은 “Pe un picior de plai / ― Pe―o gură de rai / Iată vin în cale / Se cobor la vale (산기슭 작은 언덕 곁 / 낙원의 문지방 앞 / 오솔길 따라 / 계곡을 내려오네.)“로 시작하는데 블라가는 이 공간을‘미오리짜의 공간’이라 칭하고 있다. 위 시구에서 ‘Plai’는 산 위의 평평한 지형, 특히 카르파치(Carpaţi) 산맥의 언덕을 가리키는 말이며‘vale’는 계곡을 가리키는 말이다. 미오리짜의 공간은 초원과 숲과 언덕과 계곡이 조화를 보이는 공간이며 오르락내리락 물결치는 듯한 지형적 특성을 지닌다. 블라가는 루마니아의 민족 심성의 발현은 바로 이러한 공간적·지형적 특성이 루마니아 민족의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있는 데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루마니아의 특징적 서정 민요인 도이나(Doina)에 담겨있는 회한(dor)의 감정이 깊지도 않고 가볍지도 않으며 감정의 표현이 끊임없이 고저를 반복하는 이유도 바로 이 ‘미오리짜의 공간’의 특성과 일치하고 있는 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는 설명도 덧붙이고 있다. 또한 이 <미오리짜의 공간>의 다른 연구들에서는 루마니아의 ‘시골 가옥의 위치나 구조’, ‘민족의상’, ‘실내 장식’, ‘민요’, ‘다수 종교인 정교’, ‘고대 신화와 구비문학’ 등과 루마니아 문화의 관계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를 다른 민족들의 문화 특성들과 적절히 비교하는 작업도 병행하였다. 이 저서에서 블라가는 ‘Românism(로므니슴)’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이를 오랜 세월을 거치며 루마니아인들의 무의식의 기저에 퇴적된 루마니아의 선험적(aprioric) 민족성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하고 있다. 그는 루마니아의 문화 현상들을 이해하는데 있어 가장 중심이 되는 ‘Românism’의 원천이 되는 요소들을 크게 세 가지로 보았는데, 첫째는 ‘미오리짜의 공간’으로 칭해진 카르파치 산맥 주변 지형의 원초적 특색이고, 둘째는 대자연을 대하는 루마니아 사람들의 ‘유기적(有機的, organic) 삶의 태도’와 ‘동방정교(Ortodox)의 영성(靈性 spiritualitate)’이 맺고 있는 상호 관계이며, 셋째는 ‘경제성’이나 ‘사회성’보다는 ‘자연을 닮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루마니아 시골 사람들의 미적 감성이다. 블라가는 이 연구에서 루마니아의 문화를 형성하는 여러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루마니아 문화는 소박하며 전원적인 성격이 우세에 있고 세련되고 도시적 성격은 상대적으로 열세에 있는데, 이는 만물은 유기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자연의 일부인 인간은 자연에 순응해야 한다는 사상이 루마니아 민족의 무의식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Lucian Blaga, one of the greatest Romanian poets and philosophers, established the “stylistic matrix” of Romanian spirituality in his essay, 『Spatiul Mioritic, The Mioritic Space, 1936』. A first category deal with the nostalgia of the native land and Romanian culture. For those who have even a summary knowledge of Romanian culture, the popular ballad is a beginning point. Starting from it, The Romanians were born in a “The Mioritic Space”, a pastorale space, that acts for them as a “matrix”, moulding their sensitivity. The “Mioriţa” ballad contains a specifical Romanian philosophical outlook, a “Mioritic” outlook on death, a Romanian “Weltanschauung”. The Romanians, the ballad implies, saw life as a cosmic wedding, a ritual involving the whole nature. Blaga regarded these ballads as the ‘Plai’ (the ridge or slope of a hill usually covered with meadows) of the Mioritic Space. However, the ‘Plai’ is more than topography, it is a symbol of the Romanian environment where the unconscious cultural development of the national identity occurred. He argued that the ballads of Miorita were reflected in the Romanian landscape. The alternation of accented and unaccented syllables throughout the poetry represented the layout of the Romanian environment. The unique arrangement of Romanian peasant houses separated by green fields were the unaccented syllables of the ballads. Although it appears that Blaga was using the landscape to define the collective identity of Romanians, he did emphasize that the relationship was more profound. For example, even though the Romanians had a sense of dwelling in the Mioritic Space they might actually have been living on the great plain in Wallachia. In cases like this, the folk song took the place of the ‘Plai’. Just as the Romanian was governed by the Mioritic Space, the Saxon inhabiting the same land was still dominated by the “Gothic Space” inherited from their ancestors. The mysticism and spirituality surrounding Blaga's theory of the Mioritic Space was also transposed into the religious arena. The originality of the Romanian spirit came from the derivations from Orthodox dogma brought about in semi-pagan folklore and the stylistic elements that differentiated Romanians from their Bulgarian and Serb co-religionists manifested themselves most strongly in the productions of folk poets and artists. Consequently, self-definition through the cultural unconscious of Romanians established a unique perception of “Romanianness.” Lucian Blaga provided a complex theory which united the origins of the Romanian nation into a national identity constructed by the Romanians themselves and moulded from a combination of culture and the environment. ‘Mioriţa’, in its various mythical and symbolic forms, would appear to epitomize “Romanianness,” and Blaga's theory identified Romanians as Romanians at a time when their national identity had been written and rewritten as an apolitical object. Unfortunately, Blaga's philosophy has never received the same attention as his poetry, leaving his theory of the Mioritic Space largely a project for academic debate.

목차

<국문 개요>
Ⅰ. 들어가는 말
Ⅱ. 미오리짜의 공간 (Spaţiul Mioritic)
Ⅲ. 정교(Ortodox)의 영성 (靈性spiritualitate)
Ⅳ. ‘그림같음’을 향한 동경 (Orientarea spre Pitorescul)
Ⅴ. 맺는 말
참 고 문 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호창(Lee, Ho-Chang). (2006).루치안 블라가(Lucian Blaga)의『文化三部作Trilogia Culturii』에 대한 해석과 비평. 동유럽발칸연구, 16 , 1-28

MLA

이호창(Lee, Ho-Chang). "루치안 블라가(Lucian Blaga)의『文化三部作Trilogia Culturii』에 대한 해석과 비평." 동유럽발칸연구, 16.(2006):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