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iscourse of Caucasian Captives Focusing on V.Makanin

이용수 38

영문명
Discourse of Caucasian Captives Focusing on V.Makanin
발행기관
한국중동부유럽학회
저자명
김근식(Kim, Keun-sik)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8권 제2호, 143~16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2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 러시아 문학의 전환기인 1990년대의 가장 두드러진 작가로 블라지미르 마카닌을 꼽을 수 있다. 마카닌은 이미 1960년대 말에 데뷔했지만 그의 고립적인 작품성향은 지금껏 그 어떤 문학적 조류와도 거리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그는 고독한 작가의 이미지마저 띠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마카닌의 작품에 대한 이해의 매듭은 단순히 상징이나 메타포, 직유 와 같은 전의(轉義)적 방법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 성격이 아니다. 그것은 전체 텍스트 속에 배어있는 서브텍스트를 찾아내어 접근해나가야 되는 것이다. 마카닌의 서브텍스트 읽기는 그의 텍스트 속에 숱하게 깔려있는 이미지들의 알레고리를 해석해내는 순간에 가능하게 되어있다. 그의 이미지들은 시각적 형상들보다 철학적 사상들의 결집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사상을 응축하고 있기 때문에 사변적인 알레고리를 만들어 내고 있다. 더욱이 그의 알레고리는 교훈적이고 도덕적 성격을 띤 전통적 우화보다 훨씬 미학적으로 발전된 현대적 양식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그의 양식은 정돈되어 있기보다는 거칠게 흐트러져 있으며, 모양새를 갖추지 않은 인간의 잠재적 원초성으로 치장되어 투박스럽게 보인다. 그것은 맹인, 막장꾼, 피뢰침, 늙은정신질환자, 집시의 독백과 역설 같이 때로는 그로테스크하게 들리기도 한다. 또한 소설 속에서 그러한 이미지들은 별개의 객체로서 상호간의 유기성을 갖지 않은 채 제멋대로 등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이미지들의 알레고리들은 커다란원기둥 같은 공통분모를 보이지 않게 형성하고 있다. 마카닌의 <카프카스의 포로>는 그를 대중적으로 인정받게 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주제는 이미 푸쉬킨, 레르몬토프의 동명의 장시, 톨스토이의 동명의 중편을 통해 19세기에 다루어진 적이 있었다. 본 연구논문의 목적은 마카닌이 1세기가 지난 후에 동일한 주제의 소설을 써야했던 이유와 그가 제기하고자 하는 소설의 속의 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카프카스는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러시아인에게 매우 예민한 문제이기에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켜왔다. 마카닌은 이러한 논쟁을 자신의 작품 속으로 끌어 들여 동명의 작품을 썼던 그의 선배 작가들과 문학적 담론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자신의 담론 속에서 마카닌은 “아름다움은 세계를 구할 것이다”라는 도스토예프스키의 말을 화두로 삼는다. 그러나 마카닌은 아름다움이 이 세상을 구원하지 못한다는 비극적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러한 비극의 근저에는 한 사람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다 른 한 사람이 불행해진다는 마카닌적 삶의 공식이 깔려있는 것이다. 그러나 푸쉬킨이나 톨스토이와 마찬가지로 작품 속에 등장하는 미소년과 그의 죽음을 통해 마카닌은 전쟁의 부조리를 강렬하게 일깨우기도 한다는 점에서 도스토예프스키의 말은 어느 정도 실효성을 지닐 수 있다는 가능성도 던져주고 있다. 이 세상에 행복한 포로는 없듯이, 카프카스의 포로는 비극의 띠로 매듭지어져 있는 현실을 살아야 하는 인간의 운명을 강조한다는 것이 그의 담론의 핵심이다.

영문 초록

Vladimir Makanin is considered one of the remarkable Russian writers in 1990s which are the great transitional period of contemporary Russian literature. He made his debut in the late 1960s giving up his way to be a mathematician, he evenhas the image of a lone writer because the isolated propensity of his works has kept itself from any other literary trend. In general, the knot of the understanding of Makanin's works cannot be untied in simple figurative ways with symbols, metaphors, and similes. It should be approached by finding out subtexts from the whole text. The reading of subtexts in Makanin makes speculative allegories as they condense those ideas that can appear when we come to interpret allegories of many images underlying his texts. Furthermore, his allegories have much more aesthetically developed modern modes than traditional apologues that have instructive and moral properties. However, his modes are roughly dispersed, and seem to be uncouth due to being adorned with potential human primitivism. They are often heard grotesquely like monologues and paradoxes by the blind, pitmen, old mental patients, and gypsies. Also, such images seem to appear arbitrarily as separate objects without organic interrelationship. However, such allegories of images implicitly form a common denominator like a big cylinder. So Makanin is estimated as a writer who "possesses a great stylistic flexibility, being able to combine a cold, prosaic tone with forays into myth, parable, the surreal and dystopia". Makanin's Caucasian Captive has made the author recognized by the public at large. The theme of this work was already sounded in the long poems of A. Pushkin and M. Lermontov , and in Tolstoy's novella with the same titles in 19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son that Makanin had to write the work on the same themes after 1 century since L. Tolstoy and the differences in aesthetic viewpoints between Makanin and his predecessors, as well as the author's discourse in the work. The Caucasian problem in Russian history has given rise to many controversies on many sides due to its sensitiveness. Makanin has brought into his discourse this problem and debates with his above-mentioned predecessors. In his discourse Makanin cites Dostoevsky's discourse “the beauty will save the world.” For him the beauty may be a notion parallel to the good. Thus, the thesis that the beauty will save the world is connected to the meaning that the goodness of the human can save the world. However, a tragic presentiment is already felt strongly from Makanin's novel that the beauty cannot save the world. Under such a tragedy lies a Makaninian formulation of life to the effect that in order for a man to be happy another man should be unhappy. However, Dostoevsky's thesis can have effects in that the beautiful boy's death, like the Caucasian girl's in Caucasian Captive, make us aware of the irrationality of the war. As there are no happy prisoners in the world, the title of this novel stresses man's fate by which man should live in the reality which is knotted by the tragic stripe. That is the point of Makanin's discourse in his Caucasian Captive.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Makanin as a new icon in contemporary Russian literature
Ⅱ. Discourse of Caucasian Captives: Tra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aucasian Captives in Russian literature
Ⅲ. Conclusion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근식(Kim, Keun-sik). (2006).Discourse of Caucasian Captives Focusing on V.Makanin. 동유럽발칸학, 8 (2), 143-169

MLA

김근식(Kim, Keun-sik). "Discourse of Caucasian Captives Focusing on V.Makanin." 동유럽발칸학, 8.2(2006): 143-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