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행된 후두암 환자에서 후두전절제술에 의한 척수선량 변화
이용수 1
- 영문명
- Influence of Total Laryngectomy on Spinal Cord Dose in Advanced Laryngeal Cancers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김재철(Jae Cheol Kim) 김성환(Sung Hwan Kim) 박인규(In Kyu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14권 제2호, 167~17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진행된 후두암 환자에서 후두전절제술 후 경부에 대해 방사선치료를 할 때 기관루 부위의 선량분포 양상 및 기관루에 의한 척수선량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환자의 전산화 단층촬영상을 기준으로 하여 기관루가 있는 팬톰과 기관루가 없는 팬톰을 각각 제작하고 열형광선량계 및 필름선량계를 이용하여 기관루가 있는 팬톰에서의 척수선량과 기관루가 없는 팬톰에서의 척수선량을 측정 비교하였다. 후두전절제술을 시행한 진행된 후두암 환자 12예를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에 각각 전산화 치료계획을 실시하여 척수선량을 비교하였다. 또한 팬톰에 대해서 필름선량계를 이용하여 기관루 부위의 선량분포양상을 측정하였다.
결과 : 6MV X-선, 10X20cm의 조사야로 조사한 팬톰에서 열형광선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평균 척수선량은 직경 1.2cm, 깊이 3cm의 기관루가 있는 경우 86.4%, 기관루가 없는 경우 80.1%로 그 차이는 6.3%였다. 팬톰에서 필름선량계로 측정한 평균 척수선량은 기관루가 있는 경우 84.7%, 기관루가 없는 경우 79.0%로 그 차이는 5.7%였다. 팬톰에서 전산화치료계획으로 계산한 척수선량은 기관루가 있는 경우 84.0%, 기관루가 없는 경우 78.0%로 그 차이는 6.0%였다. 환자에서 계산한 척수선량은 기관루가 있는 경우 83.1%, 기관루가 엾는 경우 76.9%로 그 차이는 6.2%였다. 필름선량계로 측정한 기관루 측벽과 후벽의 선량은 낮은 양상을 보였다 (최대선량 깊이 = 12 mm).
결론 : 팬톰 및 환자에서의 기관루가 척수선량에 미치는 영향은 기관루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6% 내외의 선량 증가였고, 기관루 측벽 및 후벽의 선량은 낮은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후두전절제술 후 하경부에 대해 방사선치료를 시행할 경우 부작용 방지를 위해 산란괴를 사용하여 척수 선량을 보정해 주고 기관루의 선량 증가를 위해 근접치료에 의한 추가조사 등의 적절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analysis was to evaluate the radiation dose around a tracheostoma and spinal cord in the case of advanced laryngeal cancers in which a total laryngectomy was done before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The radiation dose around a tracheostoma and spinal cord was measured by thermoluminescence and film dosimetry in the phantom. Radiotherapy treatment planning was done in 12 cases of advanced laryngeal cancer and compared with the measured dose in the phantom.
Results : Mean spinal cord doses in the phantom by thermoluminescence dosimetry were 86.4%(with a tracheostoma), 80.1%(without a tracheostoma), and the difference was 6.3%. Mean spinal cord doses in the phantom by film dosimetry were 84.7%(with a tracheostoma), 79.0%(without a tracheostoma). and the difference were 5.7%. Calculated spinal cord doses in the phantom were 84.0%(with a tracheostoma), 78.0%(without a tracheostoma), and the difference was 6.0%. Mean calculated spinal cord doses in 12 patients were 83.1%(with a tracheostoma), 76.9%(without a tracheostoma). and the difference was 6.2%. Measured dose of lateral and posterior wall of the tracheostoma by film was low (depth of maximum dose = 12mm).
Conclusion : In the treatment planning of the advanced laryngeal cancers, the radiation dose of the tracheostoma and spinal cord should be evaluated and be followed by an appropriate management such as a bouls or a brachytherapy boost if the dose around the tracheostoma is low.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adiation Therapy for Carcinoma of the Oropharynx
-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for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Childhood
- 악성 성상세포종에서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과발현의 임상적 의의
-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iary System
- 소세포폐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및 생존율
- Endobronchial Brachytherapy for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 입체적횡다중회전조사를 병합한 방사선수술의 새로운 접근
-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온열 방사선 병용 치료의 효과
- 정위적 방사선수술시 두개강 외부의 방사선량
- 진행된 후두암 환자에서 후두전절제술에 의한 척수선량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종양학분야 BEST
- 식도암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 Impact of adaptive radiotherapy on survival in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 소세포폐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및 생존율
의약학 > 종양학분야 NEW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제40권 제2호 목차
- 인간유두종바이러스 양성 구인두암에서 치료의 감량화
- 소아 이하선 악성 종양의 국내 발생 추이 및 이하선 수술에 대한 단일 기관에서의 경험에 대한 후향적 분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