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악성 성상세포종에서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과발현의 임상적 의의

이용수 0

영문명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Overexpression in the High-grade Astrocytomas
발행기관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저자명
홍성언(Sepng Eon Hong) 강진오(Jin Oh Kang) 이혜경(Hye Kyung Lee) 양문호(Moon Ho Yang) 임 언(Won Leem) 조경삼(Kyung Sam Cho)
간행물 정보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14권 제2호, 87~93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종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6.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악성 성상세포종에서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의 과발현의 빈도와 예후 인자로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직학적으로 악성 성상세포종으로 확진되고 방사선 치료를 받은 23명(역형성성상세포종 7예, 다형성 교아세포종 16예)의 파라핀 블록에 antihuman EGFR polyclonal antibody를 이용하여 면역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는 역형성 성상세포종에서는 7예중 2예에서 양성이었고 다형성 교아세포종은 16예중 9예에서 양성으로 양군간의 발현 빈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44). 55세 미만의 환자는 11예중 3예에서 양성이었고 55세 이상은 12예중 8예에서 양성이었다(p=0.141).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음성인 역형성 성상세포종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중앙값)은 37개월이었다. 다형성 교아세포종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음성 군은 중앙값 11개월, 양성 군은 중앙값 7개월이었으나 두 군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17). 결론: 55세 이상 연령군에서 표피성장인자 수용체의 과발현의 빈도가 높았다. 다형성 교아세포종 환자의 생존율은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과발현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etermine the incidence and prognostic effects of EGFR over-expression in the high-grade astrocytomas. Materials and Methods: With 23 paraffin blocks of the high-grade astrocytomas (7 anaplastic astrocytomas and 16 glioblastoma multiforme), expression of EGFR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employing polyclonal antibody raised to short cytoplasmic domain of the molecule. Result : Two out of 7 anaplastic astrocytomas and 9 out of 16 glioblastoma multiforme patients showed overexpression of EGFR(p=0.44). Three out of 11 patients of age below 55 and 8 out of 12 patients of age over 54 showed EGFR overexpression(p=0.141). Median survival of the EGFR negative anaplastic astrocytoma patient was 37 months. Median survival of the glioblastoma multiforme patients were 11 months in EGFR negative group and 7 months in EGFR positive group. But survival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17). Conclusion: There was a marked trend of increasing overexpression of EGFR in older patients. But survival of the glioblastoma multiforme decreased by the overexpression of the EGFR without significa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성언(Sepng Eon Hong),강진오(Jin Oh Kang),이혜경(Hye Kyung Lee),양문호(Moon Ho Yang),임 언(Won Leem),조경삼(Kyung Sam Cho). (1996).악성 성상세포종에서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과발현의 임상적 의의.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14 (2), 87-93

MLA

홍성언(Sepng Eon Hong),강진오(Jin Oh Kang),이혜경(Hye Kyung Lee),양문호(Moon Ho Yang),임 언(Won Leem),조경삼(Kyung Sam Cho). "악성 성상세포종에서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과발현의 임상적 의의."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14.2(1996): 87-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