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for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Childhood

이용수 7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저자명
김인아(In Ah Kim) 최일봉 (Ihl Bohng Choi) 강기문 (Ki Mun Kang) 신경섭 (Kyung Sub Shinn) 김학기 (Hack Ki Kim)
간행물 정보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14권 제2호, 137~14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종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6.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소아 급성임파모구성 백혈병 환자에 있어 예방적 전뇌방사선조사 및 척수강내화학요법후 중추신경계 재발율, 재발양상, 중추신경계 무병생존율, 전체무병생존율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7년 7월부터 1992년 6월까지 예방적 전뇌 방사선조사를 받은 급성 임파구성 백혈병 환아 9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3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들이 일일 180 cGy 씩 총 1800 cGy의 전뇌방사선치료를 받았고, 방사선 치료중 척수강내 화학요법이 병행되었다. 결 과: 추적관찰기간 36-96개월 (중앙값 60개월)동안 90명의 환아중 9례에서 중추신경계 재발을 보였으나, 골수재발이 선행되었던 3례를 제외하면 중추신경계 재발율은 6.7%로 나타났다. 중추신경계 재발환자의 89% 에서 골수재발이 동반되었으며, 11%에서 고환재발이 동반되었다. 골수완전관해로부터 중추신경계 재발까지의 경과기간은 16개월 (중앙값)이었고, 78%의 중추신경계 재발이 관해유지요법중에 발생하였다. 2년 및 5년 중추신경게 무병생존율은 각각 68%, 42 % 였고, 중앙값은 43개월이었다. 중추신경계 무병생조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진단당시의 백혈구수 (5만 기준), FAB 분류군, CALGB 위험분류기준으로 나타났다. 2년 및 5년 전체무병생존율은 각각 61%, 39%였고 중앙값은 34개월이었다. 전체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진단당시의 백혈구수 (5만 기준), FAB 분류군, CALGB 및 POG 위험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중추신경계 재발율은 6.7%로 다른 연구들에서 보고하는 범위에 속하여 효과적인 중추신경계 예방요법으로 판단 되었다. 진단당시의 나이 및 백혈구수를 기준으로 한 위험분류기준 중 POG 및 CALGB 위험분류기준이 중추신경계 무병생존율 및 전체무병생존율에 유의한 예후인자로 나타났다.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인 중추신경계예방요법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각 위험분류군에 따른 중추신경계 예방요법의 차별화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 및 장기 생존자들에 대한 체계적인 신경 심리학적 추적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report is the result of retrospective analysis for children who received prophyactic cranial irradiation combined with intrathecal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Ninety children with ALL who had got bone marrow remission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received PCI. All but 3 children were treated with a dose of 1800 cGy as a standard regimen. While the PCI was given, all patients received intrathecal chemotherapy. Results: Nine of 90 patients experienced CNS relapse during the duration of follow-up ranged from 36 to 96 months (median 60 months). Three children experienced BM relapse prior to CNS relapse. Therefore, CNS relapse rate as the first adverse event was 6.7%. Median time interval of CNS relapse was 16 months from the first day of hematologic complete remission. Eighty-nine percent of patients who had CNS relapse were associated with hematologic relapse, and 78% of CNS relpase occurred during maintenance chemotherapy (on-therapy relapse). The CNS RFS at 2 and 5 years are 68% and 42%, respectively with median of 43 months.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CNS RFS are initial WBC count (cut-off point of 50,000/μl), FAB subtype and CALGB risk criteria. The DFS at 2 and 5 Years are 61% and 39%, respectively with median of 34 months.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DFS are initial WBC count(cot-off point of 50,000/μl), FAB subtype, POG and CALGB risk criteria. Conclusion: In our study, 6.7% of CNS relapse rate as a first adverse event was comparable with other studies. Various risk criteria was based on age at diagnosis and initial WBC count such as POG and CALGB criteria, had prognostic significance for CNS RFS and DFS.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according to prognostic subgroup based on risk criteria and systematic study about neuropsychologic function for long term survivors, are essential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and least toxic form of CNS prophylaxi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인아(In Ah Kim),최일봉 (Ihl Bohng Choi),강기문 (Ki Mun Kang),신경섭 (Kyung Sub Shinn),김학기 (Hack Ki Kim). (1996).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for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Childhood.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14 (2), 137-147

MLA

김인아(In Ah Kim),최일봉 (Ihl Bohng Choi),강기문 (Ki Mun Kang),신경섭 (Kyung Sub Shinn),김학기 (Hack Ki Kim).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for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Childhood."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14.2(1996): 137-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