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ndobronchial Brachytherapy for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이용수 2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저자명
조영갑(Young Kap Cho)
간행물 정보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14권 제2호, 123~128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의약학 > 종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6.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악성 종양으로 인해 기도 폐쇄가 온 환자들을 저선량 및 고선량으로 내기관지 근접 치료하였을 경우의 대중치료 효과, 생존율 및 병발증을 비교 검토한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10월부터 1992년 6월까지 저선량 방법으로 21명, 1992년 8월부터 1994년 4월까지 고선량 방법으로 22명, 총 43명의 환자들에게 내기관지 근접치료를 시행하였다. 총 91회의 치료시, 모두 Fluorocopy하에서 굴절성 Fiberoptlc 내시경을 이용하였으며, 저선량 방법의 21회는 15-30 Gy를 0.75cm 원경에, 고선량 방법의 64회는 5-7.5 Gy를 Ir-192 선원으로부터 1Cm 원경에 각각 투사하였다. 결과 : 주관적 및 객관적 치료효과의 분석은 임상재진시 나타난 환자의 증상, 흥부 방사선 사진 및 흥부 단층촬영의 결과로 이루어졌다. 저산량으로 치료한 21명 중 15명의 환자와 고선량으로 치료한 22명 중 19명의 환자들이 주관적 치료효과가 있었음을 보였고, 8명의 저선량 환자와 10명의 고선량 환자가 흥부 방사선 사진과 단층 촬영상에서 객관적 효과가 있었음을 나타냈다. 결론 : 저선량 및 고선량 방사선에 의해 근접치료의 기술은 비교적 간단하며 환자가 별다른 후유증 없이 치료를 잘 받아 드리는 편이다. 이 치료 방법은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말기 폐암환자에게 내기관지 협착 내지는 폐쇄가 왔을 때 기관지의 공기소통을 원활히 증진시켜주는 대증치료 방법 이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to compare the Palliation rates, survival rates and complications of low dose rate and high dose rate endobronchial brachytherapy in the management of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 Forty three consecutive patients with malignant airway compromise from primary or metastatic lung tumors were treated with low dose rate(LDR) endobronchial Iridium-192 insertion(21 patients) between October 1988 and June 1992, and high dose rate(HDR) endobronchial brachytherapy(22 patients) between August 1992 and April 1994 with palliative aim.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y under fluoroscopic control was utilized in all 91 procedures. Twenty seven LDR Procedures delivered a dose of 5-7.5 Gy to a 1.0 cm radius respectively. Results : Subjective and objective responses to treatments were evaluated on follow-up examinations by clinical examination, chest x-rays and CT scan of the chest on some patients. Fifteen of 21 LDR patients and 19 of 22 HDR Patients showed subjective improvement in terms of better breathing and less Productive cough as well as complete disappearance of hemoptysis. Objective improvement on chest x-rays and CT scan of the chest had been demonstrated on 8 LDR Patients and 10 HDR patients. Conclusion : The technique of LDR and HDR endobronchial brachytherapy is simple and well tolerated procedure with minimal morbidity It provides excellent palliation by keeping airway Patent in these short life-spanned pati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갑(Young Kap Cho). (1996).Endobronchial Brachytherapy for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14 (2), 123-128

MLA

조영갑(Young Kap Cho). "Endobronchial Brachytherapy for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14.2(1996): 123-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