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위적 방사선수술시 두개강 외부의 방사선량

이용수 12

영문명
Extracranial Doses with LIINAC Stereotactic Radiosurgery
발행기관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저자명
김일한(Il Han Kim) 강위생(Wee Saing Kang) 하성환(Sung Whan Ha) 박찬일(Charn Il Park) 조영갑(Young Kap Cho)
간행물 정보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14권 제2호, 159~165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종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6.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서울대학교병원형 방사선수술을 뇌질환에 시행시 두개강 외부장기의 흡수선량 측정, 선량분포 분석, 시스템 안전성 확인을 목표로 한다. 대상 및 방법: 1-2개의 중심점에 12-38mm 크기의 콜리메이터를 사용하여 병소주변에 최적화 시킨 50-80% 등선량선을 기준으로 총 14-25 Gy의 계획된 정위적 방사선수술을 시행받은 15명의 뇌질환 환자에서 두개강 외부의 피부에 부착한 열형광선량계(TLD 100: LiF)를 이용하여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였다. 결 과: 피부선량을 흡수선량으로 할 때 수정체, 턱밑, 갑상선, 유방, 배꼽, 회음부 및 고환선량은 각각 8.07±4.27 cGy (최대선량 기준 0.31±0.16%; Mean±S.D), 6.13±4.32 cGy (0.24±0.16%), 7.80±5.44 cGy (0.33±0.26%), 1.78±0.64 cGy (0.07±0.02%), 0.75±0.38 cGy (0.03±0.02%), 0.40±0.07 cGy (0.02±0.01%), 0.46±0.39 cGy (0.02±0.01%) 로서 중심점에서 멀수록 감소하였고 0.3% 이하인 저선량이었다. X-선의 직접 통과, 장기에 인접한 중심점, 콜리메이터 크기가 큰 경우, 2개의 중심점을 사용한 경우 등이 선량증가와 연관되었고 좌우측 또는 동측 장기의 내외측 선량차이가 갑상선 및 수정체에서 현저하였다. 결 론: 서울대학교병원형 정위적 방사선수술시 두개강 외부 선량은 최대선량기준 0.3% 이하로서 그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두경부의 부분적 선량증가와 연관된 방사선수술의 변수 특히 exit beam의 방향은 방사선수술 계획의 최적화 과정에서 두개강 외부장기 선량의 최소화를 위하여 반드시 확인되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measure the extracranial dose and its distribution during stereotactic radiosurgery intracranial lesions using a linear accelerator by the SNUH-system and to confirm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system's prototype. Meterials and Methods: Doses were measured with TLD (LiF) chips attached at extracranial skins in 15 patients during radiosurgery, of which dose of 14-25 Gy were delivered with 1-2 isocenters using collimators 12 to 38mm with reference to 50-80% isodose line conforming at the periphery of the lesions. Results: Absorbed doses were 8.07±4.27 cGy (0.31±0.16%; Mean±S.D) at upper eyelids, 6.13±4.32 cGy (0.24±0.16%) at submental jaw, 7.80±5.44 cGy (0.33±0.26%) at thyroid, 1.78±0.64 cGy (0.07±0.02%) at breast, 0.75±0.38 cGy (0.03±0.02%), 0.40±0.07 cGy (0.02±0.01%) at perineum, and 0.46±0.39 cGy (0.02±0.01%) at scrotum. thus the farther from the isocenter, the lesser the dose was. The dose was lower than 0.3% and less detrimental. Beam-exit through organ, isocenter adjacent to organ, large collimator, and use of double isocenters might be correlated with higher dose and dose difference from these factors was more evident in the head and neck organs, especilly in the thyroid areas. Conclusion: The extracranial doses measured during the SNUH-type linear accelerator radiosurgery were lower than 0.3% of the maximum dose and so quite acceptable. But in order to minimize possible detriment in the head and neck areas by the focal high dose, directions of the exit beam of each arcplane should be confirmed in optimization of radiosurgery plann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한(Il Han Kim),강위생(Wee Saing Kang),하성환(Sung Whan Ha),박찬일(Charn Il Park),조영갑(Young Kap Cho). (1996).정위적 방사선수술시 두개강 외부의 방사선량.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14 (2), 159-165

MLA

김일한(Il Han Kim),강위생(Wee Saing Kang),하성환(Sung Whan Ha),박찬일(Charn Il Park),조영갑(Young Kap Cho). "정위적 방사선수술시 두개강 외부의 방사선량."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14.2(1996): 159-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