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iary System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전하정(Ha Chung Chun) 이명자(Myung Za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14권 제2호, 129~13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담낭과 간외 담도를 포함한 간외 담도계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방사선치료의 역할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4월에서 1994년 7월까지 본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외부 방사선치료를 받은 43명의 담낭 및 간외 담도계암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23명은 담낭암이었고 20명은 간외 담도암이었다. 23명의 담낭암 환자중에서 제 2병기는 2명, 제 3 병기는 12명, 제 4병기는 9명이었다. 남녀비는 11명대 12명이었다. 15명은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8명은 조직생검과 우회수술만을 시행하였다. 3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수술후 4500 cGy 이상의 방사선을 조사하였으며, 추적기간은 11-82개월 이었다. 20명의 간외 담도암 환자중에서 제 1병기는 1명, 제 2병기는 2명, 제 3병기는 10명, 제 4병기는 7명이었다. 남녀비는 16명대 4명이었다. 16명이 근치적 목적으로 위플씨 수술 또는 절제와 배액술을 시행하였고, 나머지 4명은 우회수술만을 시행하였다. 16명은 수술후 방사선 치료로 4500 cGy 이상 조사하였고, 4명은 3180-4140cGy를 조사하였다. 추적기간은 8-34개월 이었다.
결과 : 담낭암 환자의 전체 중앙 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다. 제 3병기와 제 4병기의 중앙생존기간은 14개월과 5개월이었으며, 2년 생존율은 각각 36%(4/11)와 13%(1/8) 이었다. 근치적 목적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이 우회수술 만으로 치료받은 환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존율이 높았다. (67%: 13% 12개월) 치료와 연관된 합병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20명의 간외 담도암 환자의 전체 중앙 생존기간은 10개월이었다. 제 3병기 10명과 제 4병기 7명의 중앙 생존기간은 각각 10개월과 8개월이었다. 위플씨 수술을 시행한 2명은 각각 11개월과 14개월간 생존하였으며, 절제와 배액술로 치료한 환자들의 중앙 생존기간은 10개월이었다.
결론 : 간외 담도계암 환자에서 수술후 외부 방사선치료에 의한 합병증은 미미하였으며, 특히 수술후 현미경적 또는 육안적 잔여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에 의해 생존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tolerance of patients of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iary system (EHBS) including gall bladder (GB) and extrahepatic bile ducts (EHBD) and to define the role of radiotherapy for these tumors.
Methods and Material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cords of 43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EHBS treated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at our institution between April, 1986 and Julr, 1994. Twenty three patients had GB cancers and remaining 20 patients did EHBD cancers. Of those 23 GB cancers, 2 had Stage II, 12 did Stage III and 9 did Stage IV disease, respectively. Male to female ratio was 11 to 12. Fifteen patients underwent radical surgery with curative intent and 8 patients did biopsy and bypass surgery alone. All of the patients except for 3 patients were treated with 4500 cGy or higher doses postoperatively. Follow up periods ranged from 11 to 82 months. Of those 20 EHBD cancers, one had Stage I, 2 did Stage II, 10 did Stage III and 7 did Stage IV disease, respectively. Male to female ratio was 16 to 4. Sixteen patients underwent Whipple's procedure or resection and drainage with curative aim and remaining 4 patients did bypass surgery alone Postoperatively 16 patients were irradiated with 4500 cGy or higher doses and 4 patients with 3180 to 4140 cGy. Follow up periods ranged from 8 to 34 months.
Results : Overall median survival time of patients with GB cancer was 11 months. Median survival time for Patients with Stage III and IV disease were 14 months and 5 month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wo rear survival rates were 36%(4/11) and 13%(1/8), respectively. Those who underwent surgery with curative intent showed significantly better survival at 12 months than those who underwent bypass surgery alone(67%vs13%). None of the patients died of treatment related complications. Median survival time for entire group of 20 EHBD patients was 10 months. Median survivals of 10 Stage III and 7 Stage IV disease were 10 and 8 months, respectively. Two patients who underwent Whipple's procedure had 11 and 14 month survival and those treated with resection and drainage showed median survival of 10 month.
Conclusion : Postoperative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iary system is well tolerated and might improve survival of patients, especially those with resectable lesions with microscopic or gross residual disease after surger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adiation Therapy for Carcinoma of the Oropharynx
-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for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Childhood
- 악성 성상세포종에서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과발현의 임상적 의의
-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iary System
- 소세포폐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및 생존율
- Endobronchial Brachytherapy for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 입체적횡다중회전조사를 병합한 방사선수술의 새로운 접근
-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온열 방사선 병용 치료의 효과
- 정위적 방사선수술시 두개강 외부의 방사선량
- 진행된 후두암 환자에서 후두전절제술에 의한 척수선량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종양학분야 BEST
- 식도암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 Impact of adaptive radiotherapy on survival in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 소세포폐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및 생존율
의약학 > 종양학분야 NEW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제40권 제2호 목차
- 인간유두종바이러스 양성 구인두암에서 치료의 감량화
- 소아 이하선 악성 종양의 국내 발생 추이 및 이하선 수술에 대한 단일 기관에서의 경험에 대한 후향적 분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