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토기의 탄소부착흔을 통해 본 소성과 조리방법

이용수 570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Firing and Cooking Analyzed via Carbon : Focusing on Pottery from the Nukuto Sit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정 수 옥(Jung, Suock) 나가토모 토모코(Tomoko Nagatomo)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65호, 45~7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토기는 고고학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민족자료, 실험고고학 등의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해 토기의 제작과 사용방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토기 내·외면에 남아 있는 흔적들 중에서 탄소에 의해 부착된 흔적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제작방법과 사용방법에 대한 복원을 시도해 보았다. 분석결과 소성과 조리방법 모두 지면에 연료를 놓고 불을 피우는 다소 간단한 방법에서 가마나 부뚜막을 제작하여 불을 피울 때 열기를 어느 정도 조정할 수 있는 시설로 변화하는데 이는 고온에서 합리적으로 불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발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가마 소성과 부뚜막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3세기 이후가 되면 가마소성의 영향을 받은 땔나무 연료흔적이 남지 않고 양호한 야외소성이 이루어진다. 조리방법의 경우에는 종래의 동일 기종 내에서 용량별 밥과 죽(미음) 및 반찬류, 물끓이기 등으로 사용 분화된 방법에서 장란형토기와 시루라는 새로운 기종을 제작하여 부뚜막에 걸쳐서 쌀을 찌고 심발형토기를 노지 위에서 찌개류(반찬류)나 죽(미음)과 같은 방식으로 조리하게 된다. 이는 각각의 용도에 맞춰서 토기를 제작하고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 시기에는 토기의 용도별 사용분화가 더욱 명료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가마소성이나 부뚜막의 출현기가 되면 늑도 유적에서는 시루나 와질토기가 출현하고 있지만 소성방법이나 조리방법은 종래의 방법을 계승 유지하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otte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tems to learn about ancient lifestyles and means of productions. Pottery has been analyzed from many angles especially in terms of production techniques and ways of utilization, including the approaches of ethnoarchaeology and contemporary practical experimentation. In this paper we focus on changing patterns of firing and uses of pottery by analyzing traces of carbon upon the pottery. We hold that firing and cooking emerged from simple methods in which pottery and food was heated on the ground, to a more advanced way of use. Innovative utilizations included constructions around fires such as kilns and cooking stoves, i.e. methods which were introduced from lifestyles surrounded by pottery– making in the northern Korean peninsula. Resulting analysis of pertinent pottery samples from the Nukuto site reveals that during the appearance of kilns and stoves, firing and cooking was still practiced in a "traditional" way. In contrast, however, during the third century, when firing kilns and cooking stoves became more refined, the kiln firing had an impact fuel– covered firing which became to be more covered tightly and take long time. Cooking methods changed from conventional ways in that rice and soups were cooked in different sizes of pottery on open fireplaces, to a new way in which rice was steamed in pottery of long– shaped bodies placed on the stove while soups were cooked in small pots immediately on open fireplaces. These practices show that cultural diffusion from the northern Korean peninsula played a small role during the pre– Three Kingdom period. However, the impact of the new firing methods from northern locations on the cultures of the middle– southern Korean peninsula grew significantly upon the changed lifestyles and pottery production during the main phas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목차

요약
Ⅰ. 연구 동향 및 목적
Ⅱ. 토기에 남은 탄소부착흔 분석
Ⅲ. 토기의 탄소부착흔을 통해서 본 소성과 조리방법의 전개양상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 수 옥(Jung, Suock),나가토모 토모코(Tomoko Nagatomo). (2009).토기의 탄소부착흔을 통해 본 소성과 조리방법. 한국상고사학보, (65), 45-74

MLA

정 수 옥(Jung, Suock),나가토모 토모코(Tomoko Nagatomo). "토기의 탄소부착흔을 통해 본 소성과 조리방법." 한국상고사학보, .65(2009): 45-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