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남 동부지역을 둘러싼 大伽耶와 百濟

이용수 951

영문명
A study of movement between Daegaya and Baekge along with eastern region of Honam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朴天秀(Park, CheunSoo)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65호, 107~13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日本書紀』繼體기에 보이는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지역을 둘러싼 대가야와 백제의 공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지역의 위치와 성격에 대해 호남 동부지역에 속하는 여수, 순천, 광양, 하동, 남원지역으로 비정하고, 이러한 지역이 대가야권역임을 확인하였다. 종래 대가야의 발전은 야로분지의 철산 개발에 의한 것으로만 파악되어 왔으나, 본고에서는 이를 기반으로한 섬진강로와 任那四縣의 확보를 통한 남해안 제해권의 장악이야말로 내륙에 위치한 대가야가 가야의 중심국으로 군림하게 된 배경으로 보았다. 즉, 이 시기 대가야는 남해안의 해상교통을 장악함으로써 가야지역의 중심국으로 지위를 확보하고, 對일본열도 교역에서 금관가야뿐만 아니라 신라와의 경쟁에서도 우위에 선 것이다. 6세기 전엽 영산강상류역의 광주, 담양지역과 해남반도에 前方後圓墳이 출현한다. 이 시기 백제가 任那四 縣, 己汶, 帶沙지역을 공략하는 것에서 백제의 對大伽耶전략과 관련하여 이 지역에 전방후원분이 출현하는 것으로 보았다. 호남지역의 전방후원분과 동시에 任那四縣, 帶沙와 인접한 가야지역에서 왜계고분이 출현한다. 영산강유역의 전방후원분과 가야지역의 왜계고분은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지역을 중앙에 두고 분산 배치되어 있고 6세기 전엽에 국한된 출현시기와 각각 백제와 대가야산 위신재를 보유한 것에서, 이는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지역을 둘러싼 백제와 대가야의 공방전에 겗部九州지역을 비롯한 出自가 다른 倭人이 백제와 대가야측에 각각 傭兵으로 동원된 것으로 본다. 6세기 전반 백제가 임나사현과 대사진을 점령함으로써 대가야는 남해안의 제해권과 교역항을 상실한다. 이에 따라 대가야와 일본열도의 교역이 퇴조하고, 대신 백제산 문물이 본격적으로 일본열도에 이입된다. 이는 대가야의 쇠퇴와 멸망의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laced Imnasahyeon(任那四縣), Gimun(己汶), and Daesa(帶沙), which have been stated by Keitai(繼體) in Nihonshoki(日本書紀) to Yeosu, Suncheon, Gwangyang, Hadongm, Namwon, located in eastern region of Honam. And also proved that they were sphere of Daegaya. In the past, the development of Daegaya was unterstood to be based on the cultivation of iron production primarily in the Yaro. This study assumed that establishment of dominance over southern sea of Korean peninsular by securing Seomjin river route and Imnasahyeon(任那四縣) also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These were main background of superiority of Daegaya in trade with japanese archipelago and in relation with other Gaya countries. Keyhole– shaped tombs appeared by the time of the early– 6th century in Gwangju, Damyang, upp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and Haenam peninsular as consequence of strategy, owing to invasion of Baekje to Imnasahyeon(任那四縣), Gimun(己汶), and Daesa(帶沙). At the same time Wa style tombs were constructed in Gaya region nearby Imnasahyeon(任那四縣), Daesa(帶沙). People who were buried in those tombs of both region were japanese mercenary from northern kyushu and the other region. This assumption could be demonstrated by the several archaeological facts such as distribution aspects of tombs in upp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and Gaya region, exclusive appearance time of each tomb, and burial of prestige goods of Baekje and Daegaya. Baekje had occupied Imnasahyeon(任那四縣), Daesajin(帶沙津) by the first half of 6th century. Thus, Daegaya was deprived of those region as well as control power for external trade port. According to these process, Baekje had gained superior position to trade with japanese archipelago and Daegaya had dwindled away.

목차

요약
머리말
Ⅰ.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의 位置에 대한 검토
Ⅱ. 5세기 후반 大伽耶의 成長과 호남 동부지역 진출
Ⅲ. 6세기 전반 호남 동부지역을 둘러싼 大伽耶와 百濟의 攻防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朴天秀(Park, CheunSoo). (2009).호남 동부지역을 둘러싼 大伽耶와 百濟. 한국상고사학보, (65), 107-130

MLA

朴天秀(Park, CheunSoo). "호남 동부지역을 둘러싼 大伽耶와 百濟." 한국상고사학보, .65(2009): 107-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