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지의 폐기와 소멸 연구

이용수 509

영문명
A Study on Abandonment of Residential Area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Bronze Age : A case study on soil deposition patterns in the topsoil, and volume of remains unearthed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허의행(Heo, Uihae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65호, 5~4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주거의 폐기모습을 알기 위해 화재와 자연 방치 폐기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자연 폐기와 인위적 폐기 모습을 토양의 퇴적양상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고 이를 6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각 유형별 의미에 대해 접근할 수 있었다. 주거지 내 토양 퇴적양상은 취락 유형별, 그리고 유적별 분포에서 차이가 확인되는데, 역삼·흔암리유형 취락 주거지에서는 다양한 퇴적양상이 나타나는 반면, 가락동 유형 취락에서는 자연적 퇴적양상 주거지가 주를 이룬다. 이러한 퇴적양상은 주거 폐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주거 내 잔존한 유물량과의 관계를 통해 16가지 형태의 다양한 주거 폐기 의미를 살펴볼 수 있었다. 주거의 폐기는 역삼·흔암리유형 취락의 경우 주거지 내부의 다양한 토양 퇴적양상, 유물량의 다수, 화재 주거지의 수와 분포로 보아 자·타의적 폐기 모두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주, 재정착 그리고 분촌화 등의 다양한 원인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취락의 소멸은 모든 주거의 폐기와 동시에 발생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되며, 자·타의적 원인에 의한 소멸도 있었겠지만, 증가된 주거와 인구에 따른 주변 자원 활용이 극대화되면서 이에 수반한 자원의 황폐화와 고갈이 소멸 원인의 일부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에 가락동유형 취락의 주거 폐기는 단일한 퇴적양상, 유물의 소량 잔존, 화재 주거지의 수와 분포로 보아 대부분 동시에 폐기된 것으로 파악되며, 이주와 이동의 모습은 있지만 재정주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취락 소멸은 모든 주거의 폐기와 함께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주변 자원의 황폐화보다는 결집력이 약한 취락 집단의 자·타의적 분산 뿐 아니라 외부의 간섭에 의한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In a bid to identify what residence looked like, experiments with fires, and leaving naturally unattended and natural abandonment were conducted. Through experiments, the processes of natural abandonment and artificial abandonment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atterns of soil deposition, which were divided into six types to be further studied. Patterns of deposition differ according to types of villages, and distribution of remains; in the Yeoksam– ri and Honam– ri villages, diverse residential deposition patterns were discovered, while, in Garak– dong– type villages, patterns of natural residential areas prevailed. These deposition patterns are thought to show the patterns of abandonment of residential areas; through their relations with the volume of remains existing within the residential areas, 16 types of residential abandonment and decline were identified. Residential abandonment happened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in the case of the Yeoksam– ri and Honam– ri– type villages, considering diverse deposition patterns, the existence of massive remains, and the number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fires and residences; behind this, there seems to have been diverse causes such as relocation, resettlement and segmentation into various villages. The decline of villages should be studied from various aspects, but not all abandonment of residences is not thought to have occurred at the same time. Although there were voluntary or involuntary declines, the decline is also estimated to have been caused by an increase in residences and population, which sparked the maximization of utilization of surrounding resources, leading to desolation and depletion of resources. In the meantime, the abandonment of Garak– dong– type villages is estimated to have occurred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single deposition patterns, the existence of small amounts of remains, and distribution of fires and residences; only traces of relocation and movement were discovered, but no traces of resettlement were seen. The decline of villages is believed to have occurred simultaneously with the abandonment of all residences, perhaps because, rather than the surrounding resources were depleted, communities of villages with weak cohesion were dispersed or were effecte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주거지 매몰과 폐기관련 연구
Ⅲ. 주거지 퇴적유형의 분류와 분포
Ⅳ. 주거의 폐기와 취락의 소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의행(Heo, Uihaeng). (2009).청동기시대 전기 주거지의 폐기와 소멸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65), 5-44

MLA

허의행(Heo, Uihaeng).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지의 폐기와 소멸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65(2009): 5-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