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중문화의 시각문화교육적 이해와 접근

이용수 801

영문명
Approaching Popular Culture from a Visual Culture Educational R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연혜경(Yeon, Hye Kyu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3券 3號,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중문화는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핵심어로서 대중매체에 의해서 대량생산, 유통, 소비되는 현대의 문화적 환경이다. 대중문화는 우리의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스며들어있어 우리의 정서와 사고, 행위 양식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대중문화의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시각문화 교육에서의 대중문화 교육을 미술교육의 전환적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정체성이 형성되는 시기에 있는 청소년에게 대중문화는 정서적 교감으로 생활의 변화를 주는 오락거리인 동신에 자신을 돌아보고 또래와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을 표현하는 매개체이다. 시각문화교육에서 대중문화 교육의 목적은 청소년이 대중문화의 수동적 소비자가 능동적 의미 해석자가 됨으로서 자신의 삶에서 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이론탐색으로서 연구자는 대중문화의 특성과 이해를 학습자로서 청소년과 미적체험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래서 청소년은 대중문화의 능동적 의미해석자로 제시하고 대중문화의 미적체험은 일상적 삶의 예술화라는 듀이의 관점과 정서적 체험으로서 소비행위와 놀이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시각문화교육으로서 대중문화 교육의 방향과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opular culture is the mas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the art of the mass through the popular media, and is a key to understanding the modern society. It permeates through our everyday lives, governing our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 This study, by focusing on these factors of popular culture, aims to discuss a revolutionary approach in art education through popular culture education. To adolescents during their phase of self-identity development, popular culture serves both as a means of entertainment that brings about transformation through emotional interaction and a channel to develop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o reflect upon and express self. The direction that popular culture education should take from the standpoint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s to assist adolescents to make the transformation from a passive consumer of popular culture to an active interpreter of the implication of popular culture. In a theoretical search to this end, this study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as replicable, everyday, commercial, and emotional experience and provides the understanding of popular culture from a critical, receptive, and cultural research standpoint. The study also explores the prospect of adolescents as an active interpreter of popular culture from the art education perspective by observing consumer behavior and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popular culture education in visual culture educ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연혜경(Yeon, Hye Kyung). (2009).대중문화의 시각문화교육적 이해와 접근. 미술교육논총, 23 (3), 1-26

MLA

연혜경(Yeon, Hye Kyung). "대중문화의 시각문화교육적 이해와 접근." 미술교육논총, 23.3(2009):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