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多鈕粗文鏡의 形式變遷과 地域的 發展過程

이용수 729

영문명
The type-transition and regional development-process of the mirrors with coarse lines on their back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趙鎭先(Jo, JinSeo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62호, 27~5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1.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뉴경은 우리나라 청동기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지금까지 연구는 배면 문양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지만 다뉴경의 변천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필자는 다뉴경을 볼록경(Ⅰ식), 평면경(Ⅱ식), 오목경(Ⅲ식)으로 구분하고 볼록경-평면경-오목경 순으로 변천한다고 보았다. 경판과 주연부 형태는 시간차와 함께 지역차를 반영한다. 평연·방연(A식) 다뉴경은 서기전 9~8세기부터 서기전 5~4세기까지 요서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삼각연(B식)과 반구연(C식) 다뉴경은 서기전 4~2세기에 요동지역과 연해주·한반도에 분포하고 있다. 삼각연 다뉴경은 요동 북부지역에서 대청산-오도령구문식 변형비파형동검 및 점토대토기와, 반구연 다뉴경은 한반도 중남부지역에서 세형동검 및 점토대토기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다뉴경은 당시 지배 엘리트와 밀접하게 관련될 것이므로 평연·방연권, 삼각연권, 반구연권은 각각 공통된 문화기반의 정치체 권역과 연결지을 수 있다. 또한 다뉴경이 출토되지 않은 요동 남부지역은 중원문화와 상대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며, 서북한지역은 이 세 정치체의 접경지역적 성격을 띠고 있다.

영문 초록

The mirrors with coarse lines on their back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Korean Bronze Age Culture. Until now, the researches into the mirrors put more emphasis upon the lines on their back, and the type-transition of the mirrors is not reflected in the researches enough. This writer divide the mirrors into the convex mirror, the plane mirror and the concave mirror. This writer think that The convex mirror and the plane mirror change into the concave mirror, and the rim of the mirrors is related very closely to the region. The mirrors with the flat rim are distributed in the Liaoxi from the 9~8 century BC to the 5~4 century BC. And. The mirrors with the triangular rim and The mirrors with the hemisphere rim are distributed in the Liaodong and Korean peninsula in the 4~2 century BC. The mirrors with the triangular rim and the Daecheongsan-Odoryeonggumun Transformation Bronze Slender Daggers exist together in the northen sites of the Liaodong. And, The mirrors with the hemisphere rim and the Bronze Slender Daggers exist together in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As the mirrors are related very closely to the ruling elite of the that time, the mirrors with the flat rim zone, the mirrors with the triangular rim zone and The mirrors with the hemisphere rim zone are related very closely to the political unit-communities zones which are based on the original culture each. The southern site of the Liaodong, in which the mirrors are not excavated, is related to the chinese culture. The west part of the North-Korea is the borderland of the three political unit-communitie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다뉴조문경의 형식분류와 변천
Ⅲ. 다뉴조문경의 편년과 지역적 변천
Ⅳ.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趙鎭先(Jo, JinSeon). (2008).多鈕粗文鏡의 形式變遷과 地域的 發展過程. 한국상고사학보, (62), 27-54

MLA

趙鎭先(Jo, JinSeon). "多鈕粗文鏡의 形式變遷과 地域的 發展過程." 한국상고사학보, .62(2008): 2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