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한시대 표비의 수용과 획기

이용수 251

영문명
The Acceptance and Periodization of the Bridle Bit at Three-Hans Period: Focused o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이상율(Lee, SangYul)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62호, 85~10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1.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삼한시대 표비의 특징 및 변화상에 대해서는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 파악되어 왔으나 변화의 기점에서 그러한 원인이 어디에 있었는지는 언급되지 못하였다. 본고의 목적은 이 문제를 구체적으로 밝혀보고자 한 데 있다. 영남지역에서는 기원전 1세기중엽 이후부터 프로펠라형을 표지로 하는 표비가 등장하였는데, 그 조형은 멀리 燕에서 구할 수 있으나 영남지역으로 바로 입수된 것이 아니라 낙락을 비롯한 서북부지방을 거쳐 들어왔음을 언급하였다. 영남지역에 등장하게 된 배경으로는 마노관 정책의 폐지, 철의 보급과 수용 및 공급이라는 측면을 함께 고려하는 틀 속에서 구하였다. 또한 최근 표비를 통해 영남지역의 철기생산 연대를 올려보려는 시각에 대해 표비가 그러한 근거자료가 되지 못함을 밝혔다. 프로펠라형 표비 이후, 2세기중엽 경에 새롭게 등장하는 영남 고유의 고사리상S자형 표비는 이 지역에서 철광산의 개발 및 제철기술의 확산, 초강로나 목곽묘의 등장 등 한층 강해진 사회 경제적 기반을 토대로 등장한 새로운 철기제작집단에서 그 출현 배경을 찾았다. 3세기부터는 이 고사리상S자형 표비가 의기화해 나가는데, 이는 제의 행위와 관계되는 삼한 후기의 사회상과 밀접히 관계됨과 동시에 당시의 역동적인 사회상과는 달리 마구가 차지하는 역할이나 운용이 매우 낮았던 것으로 보았다.

영문 초록

The bridle bit of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in the Three-Hans period has turned up since the middle of 1st century B.C.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bridle has been able to divide with four phases. The first phase of the process, as a term of the beginning, has the bridle bit which is the type of a propeller. This phase had lasted with the tomb of a wooden-coffin and the former grey earthenware until the middle of the 2nd century. It was limited in this term because the policy of Manokwan of the Han dynasty in China was abolished and the bridle in the southeastern part was transmitted from Nak-rang. The main feature of the second phase was that the bridle bit like a propeller, the former one, has almost disappeared and the bridle bit shaped like 'S' which was the form of bracken has turned up and expanded. This method adopted the shape of bracken was original with the southeastern part. The period of prosperity of this phase was about the latter half of the 2nd century and held the oldest tomb of a wooden-chamber and the former grey earthenware in common. It showed that there was the new social and economic foundation in the southeastern part due to the production of iron and the development of iron manufacture. In the third phase, it was noticeable that the bracken shaped 'S' typed bridle bit was specialized and prevailed throughout the first half year of the 3rd century. As changing the standard of the bridle bit, this bridle gradually has become a formal thing and existed with the tomb of a wooden-chamber and the latter grey earthenware. It was the reason why the bridle bit became formal that the bridle bit was connected with the social aspect of the latter Three-Hans period. It meaned that the role and importance of horses was insignificant in a combat. In the fourth phase, the former, the bracken shaped 'S' typed bridle bit, continuously has lasted but the disproportion of the bridle has deepened and become malformed completely. It was the final form of the bridle bit of Three-Hans period and corresponded to the latter half of the 3rd century.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서북부지방 표비의 두 유형과 낙랑 표비의 실체
Ⅲ. 영남지역 표비의 전개
Ⅳ. 영남지역 표비의 등장과 변화의 배경
Ⅴ. 알타이계 표비 용어와 관련하여
Ⅵ.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율(Lee, SangYul). (2008).삼한시대 표비의 수용과 획기. 한국상고사학보, (62), 85-106

MLA

이상율(Lee, SangYul). "삼한시대 표비의 수용과 획기." 한국상고사학보, .62(2008): 85-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