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적합한 교사관심사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이용수 628

영문명
Validating the instrument of measuring teacher concern for Korean schools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지은림(Chi, Eunlim) 양명희(Yang, Myunghee) 조윤정(Cho, Yoonjung)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2권 제2호, 387~40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사관심사는 수업과 관련하여 교사들이 지각하는 문제와 요구, 어려움으로 정의되는 바 교사교육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온 교사의 심리적 특성이다. 본 연구는 미국의 교육상황에서 개발된 ‘교사관심사’ 측정도구가 우리나라 교사들에게도 적용가능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측정학적 측면들을 검토하였다. 다국면라쉬모형을 적용하여 문항의 적합성과 문항반응범주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는데, 부적합 문항으로 나타난 9개 문항들은 학급당 학생 수나 학교업무 등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교육현실에서 교사의 자율권이 낮은 문항이 교사관심사가 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동료교사에 관한 관심도 미국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부적합한 문항을 제외한 문항으로 구성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신뢰도 검토와 문항반응범주를 재확인하였는데, 질문지가 측정학적으로 개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의 특성에 대한 탐색을 실시하였고, 개발된 질문지 결과에 따른 교사들의 관심사 수준을 파악해보았다. 결론적으로 외국에서 사용하던 교사관심사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는 것이 교사관심사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validate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teacher concern which was developed in the U.S. since teacher concern is closely related with teachers' culture and environments. This study constructed the teacher concern scale based on Fuller's theory which assumes that teacher concern consists of three factors of ‘impact’, ‘self’, and ‘task’. George's TCQ (Teacher Concern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44 five-point scale items, was administered to 1,077 secondary teachers. To validate the measurement instrument, the analysis of item fit and item response categories was done by many-faceted Rasch model. The analysis identified 9 misfitting items, and the misfitting items revealed that Korean teacher concern reflects different aspects from Americans. After deleting misfitting items, the interval of item scale was improved and Cronbach-α was also increased. In addition, Mplus analysi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latent trait factors of teacher concern. Among three factors, ‘impact’ was found as the first factor, and ‘self’ was the second factor. In terms of the level of teacher concern, the average score of ‘self’ was highest, and that of ‘task’ was lowest. All of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quality of teacher concern measurement instrument can be enhanc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chool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은림(Chi, Eunlim),양명희(Yang, Myunghee),조윤정(Cho, Yoonjung). (2009).우리나라 교육현장에 적합한 교사관심사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22 (2), 387-407

MLA

지은림(Chi, Eunlim),양명희(Yang, Myunghee),조윤정(Cho, Yoonjung).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적합한 교사관심사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22.2(2009): 387-4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