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원양성기관 2주기 평가 모형 분석과 과제

이용수 354

영문명
The Analysis and Tasks of the Evaluation Model o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권순달(Soon-Dal, Kwon)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2권 제2호, 311~34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원양성기관들은 2010년 시행 예정인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러한 교원양성기관 중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교육대학원이 2주기 평가 결과와 함께 향후 도입될 3주기 평가에 관심이 높다. 그 이유는 특히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를 통해 교원양성 기능을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2주기 평가를 분석하고, 향후 시행될 교원양성기관 평가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주기 교육대학원 평가를 일반적인 평가 설계에 따라 평가 방향, 평가 영역(준거), 평가 방법 및 절차, 평가 결과 및 활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틀을 가지고 30문항으로 된 설문지를 제작하여 전국 134개 교육대학원에 배부하였으며, 이 중 52개 교육대학원에서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대학원의 평가 방향 즉 평가 목적은 교육대학원 질 향상과 책무성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원칙에서 피 평가기관의 업무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평가 내용에서는 교육여건보다 교육과정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평가 영역과 항목에서 대해서는 정량적 평가 지표보다 정성적 평가 지표의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평가 기준을 지나치게 높게 설정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 영역에서 시설보다 교육의 내용과 과정 중심으로 평가 지표를 개발할 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평가 방법 및 절차에서 평가 주기는 4년 또는 5년을 선호하고 있으며, 평가단은 상시 전문 인력의 구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평가 결과 및 활용에서도 새로 도입하려는 ‘인정’보다 현재의 4단계를 선호하고 있으며, ‘인정’을 받을 경우 혜택을 부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aluation model for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e have experienced the evalu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two times for 10 years. Through reviewing the second cycle of the evaluation o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as analyzed critics and the issues. By making an analysis, 30-items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elivered to the 134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n was collected 90 questionnaires. The conclusions based up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 goals and principles of the evaluation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s and accountability. Second,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are very important as evidences in program evaluation. Third, methods and procedures of evaluation are made a revision according as characteristic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urth, outputs of evaluation are opened. And if evaluation standards are satisfied, feedback must be provided powerfully. It is appeared that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want to make profound study for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on and indicators in order to improve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2주기 평가 분석과 쟁점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후주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순달(Soon-Dal, Kwon). (2009).교원양성기관 2주기 평가 모형 분석과 과제. 교육평가연구, 22 (2), 311-341

MLA

권순달(Soon-Dal, Kwon). "교원양성기관 2주기 평가 모형 분석과 과제." 교육평가연구, 22.2(2009): 311-3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