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능성 조음장애아의 임상적 고찰

이용수 535

영문명
Clinical Aspects of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발행기관
대한소아신경학회
저자명
오은영(Eun Young Oh) 김영훈(Young Hoon Kim) 이현승(Hyun Seung Lee) 이인구(In Goo Lee) 이준성(Jun Sung Lee) 장은실(Eun Sil Jang)
간행물 정보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16권 제2호, 189~197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1.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 말과 언어의 발달은 소아 발달의 중요한 지표로서 이에 대한 장애는 소아 신경 발달 장애의 가장 흔한 소견이다. 말과 언어의 장애는 후에 정서장애, 행동장애, 학습장애, 사회 부적응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하여 어린 연령에서 일찍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말과 언어 지연을 주소로 내원하였던 소아들의 원인에 따른 진단, 검사 소견 등을 고찰하였고 이 중 국내에 보고가 거의 없는 기능성 조음장애 환아의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 다. 방 법: 2004년 3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가톨릭의정부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말과 언어지연을 주소로 내원하여 조음평가, 발달 및 언어검사를 받았던 소아 137명을 대상으로 임상기록지를 고찰하였으며 이 중 기능성 조음장애로 진단된 소아 22명에 대해서는 조음평가 자료를 분석하였다. 발달에 대한 평가는 Gesell 발달검사로, 언어에 대한 평가는 그림 어휘력 검사, 영유아 언어 발달 검사, PRES 언어검사와 REEL 언어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용언어 연령과 표현언어 연령을 실제연령 대한 백분율로 구하여 수용언어지수와 표현언어지수를 산출하였다. 조음평가에 대해서는 그림 자음 검사를 시행하여 자음정확도와 조음상 변동을 보이는 자음들의 오류유형을 대치, 왜곡, 생략, 첨가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음운장애를 감별하기 위하여 음소의 변화에 따른 단어의 의미 변화를 인지하는지에 대한 음소 기능 평가도 동시에 시행되었다. 결 과: 1) 대상환자 중 남아는 98명, 여아는 39명이었으며 남녀비는 2.5:1로 남아가 더 많았다. 진단 당시 평균 연령은 46.8개월(17-133개월)이었으며 연령별로는 24-35개월의 연령이 가장 많았다. 내원시 주소로는 ‘말이 늦는다’가 92명(67.2%)으로 가장 많았으며, ‘발음이 부정확하다’ 37명(27%), ‘말을 더듬는다’ 5명(3.6%), ‘학습에 장애를 보인다’ 3명(2.2%)을 보였다. 질환별로는 발달성 언어장애가 97명(70.8%)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능성 조음장애가 22명(16.1%), 정신지체 8명(5.8%), 말더듬 4명(2.9 %), 설소대 단축증 1명(0.7%), 정상 5명(3.6%)을 보였다. 평균 수용언어지수와 평균 표현언어지수는 발달성 언어장애에서 62.6와 57.6, 정신지체에서 52.9와 41.9를 보여 70보다 낮은 언어지체 소견을 보였다. 2) 기능성 조음장애아 22명은 남아가 13명(59%), 여아가 9명(41%)였으며 60-71개월 연령대가 가장 많았다. 조음평가상 자음정확도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음정확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발음 오류유형으로는 대치가 가장 많았고, 왜곡, 생략, 첨가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치와 왜곡은 단어의 초성과 중성에서 생략은 종성에서 많았다. 주로 말소리 발달단계상 숙달연령이 높은 치조 마찰음(/ㅅ,ㅆ/), 경구개 파찰음(/ㅈ,ㅊ,ㅉ/), 치조 유음(/ㄹ/), 연구개 파열음(/ㄱ,ㅋ,ㄲ/)을 잘 발음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구개 파찰음, 치조 마찰음, 연구개 파열음이 숙달연령이 낮은 치조파열음으로 대치되거나 치조 유음과 치조 마찰음이 과도음으로 왜곡되는 현상을 보였다. 결 론 : 발음과 언어에 장애를 보이는 소아의 진단은 조음기관부터 뇌의 언어영역까지 어느 부위의 문제인지를 구별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는 향후 발생될 수 있는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언어는 나라마다 다르다는 특성이 있으므로 향후 우리나라에 맞는 조기진단을 위한 선별검사나 진단들의 구분을 위한 검사방법의 개발, 치료시작연령이나 치료기준, 예후 등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is an useful indicator of the overall development of children. Since speech and language delay can lead to emotional, social, and learning problems, the early intervention is very important. We examined 137 children with speech or language problems including 22 children of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of their clinical features. Methods : 137 children with speech or language problem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Uijeongbu St. Mary's Hospital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7 were reviewed for sex, age, developmental and language test findings retrospectively. Especially, in 22 children diagnosed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articulation test findings were analyzed. Results : 1) The mean age of 137 children was 46.8 month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2.5:1, and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24-35 months. The chief complaints included language delay(67.2%), mispronouncing speech sound(27%), stuttering(3.6%), learning disability(2.2%). The diagnoses of them were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70.8%),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16.1%), mental retardation(5.8%), stuttering(2.9%), tongue tie(0.7%), normal language pattern(3.6%). 2) The mean age of 22 patients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was 63 month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4:1, and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60-71 months. The mean percentage of consonant correct of Picture Consonant Articulation Test was higher in older age group. In the types of phonetic errors substitutions were most common. Distortions, omissions, and additions were followed in the order of frequency. Substitutions and distortions were common in word initial and medial but omissions in word final. It is appeared that the patients had the difficulties in pronouncing alveolar fricative, palatal affricate, liquid, and velar plosive which mature lately in older children. Mainly palatal affricate, alveolar fricative, and velar plosive were substituted for alveolar plosive and the liquid and alveolar fricative were distorted as gliding. Conclusion : Categorizing the cause of language and speech delay is essential to make an adequate treatment plans and decrease the late complications. The future studies for the early screening, more suitable tests in Korean, treatment guidelines or prognosis are needed.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요약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은영(Eun Young Oh),김영훈(Young Hoon Kim),이현승(Hyun Seung Lee),이인구(In Goo Lee),이준성(Jun Sung Lee),장은실(Eun Sil Jang). (2008).기능성 조음장애아의 임상적 고찰.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6 (2), 189-197

MLA

오은영(Eun Young Oh),김영훈(Young Hoon Kim),이현승(Hyun Seung Lee),이인구(In Goo Lee),이준성(Jun Sung Lee),장은실(Eun Sil Jang). "기능성 조음장애아의 임상적 고찰."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6.2(2008): 189-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