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이용수 579

영문명
A Study on the fantastics of Lee Chung-joon’s novels : Emphasis on the aspect of pursuing ‘maternity’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김소륜(Kim, So Ryun)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3집, 179~20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7.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의 한국 문학은 환상을 리얼리즘의 영향권 아래 종속시키고자 노력해왔다. 때문에 이청준 소설에 있어서의 환상성은 작품 내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과 공간, 그리고 소재적인 특징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이청준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세계는 눈에 보이지 않는, 현실 이면의 감추어진 세계이다. 환상은 이러한 현실 이면을 비춰주는 효과적인 통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환상성은 단순한 현실도피 혹은 현실을 위협하는 수단이 아닌, 현실을 유지하기 위한 화해의 몸짓으로서 구체성을 갖는다. 그런데 이때의 화해는 모든 것을 포용하는 어머니의 이미지를 통해서 접근된다. 어머니는 남성인 아들이 긍정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이끌어주는 타자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이청준의 소설 전체를 관통하는 서사원리를 ‘환상성’으로 삼고, 작품 내에서 추구되는 모성 이미지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해 보았다. 우선 Ⅱ장 ‘유보적 환상과 상실된 모성’에서는 이청준 소설 전반기(1965~1974)에 해당하는 작품 가운데 「배꼽을 주제로 한 변주곡」을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시기에는 주로 외부로부터 갑작스레 유입된 환상 앞에서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못한 채 망설이는 주체가 등장한다. 이는 환상의 효과로 제기되는 주저함이나 망설임을 통해 ‘결정불가능의 상태’에 몰릴 수밖에 없던 당시 사회 분위기를 반영한다. 따라서 그 속에서 개인은 본인이 의도하지 않은 거대한 사회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어느 것도 선택할 수 없는 유보적 자세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주체의 수동성은 상실되어 찾을 수 없는 어머니를 통해 강조된다. Ⅲ장 ‘도피적 환상과 분열된 모성’에서는 이청준 소설의 중반기(1975~1984)에 해당하는 작품 가운데 「흐르지 않는 강」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진다. 이 시기에 드러난 환상은 광기나 정신분열을 겪는 인물들이 추구하는 ‘도피적 환상’이 주를 이룬다. 이는 정치․사회적인 메커니즘과 그 횡포에 대한 인간 정신의 대결 관계가 심화되던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한다. 이에 주체는 자신의 모든 것을 이해하고 보듬어줄 어머니를 강력하게 추구하게 된다. 그러나 조건 없는 사랑을 베푸는 모성과 개인의 욕망을 우선시하는 모성의 이미지가 분열된 상태로 존재하기에 주체는 현실로부터 일탈할 수밖에 없다. Ⅳ장 ‘초월적 환상과 성화된 모성’에서는 이청준 소설의 후반기(1985년 이후)에 속하는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진다. 이 시기의 작품에는 외부 세계의 변화로 인해 어쩔 수 없이 희생을 강요받은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러나 그들은 주어진 현실에 굴복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삶을 반성하며, 보다 나은 미래를 구축해나간다. 이때 새로운 세계의 구축은 새 생명을 출산하고 양육하는 어머니의 신성한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어머니는 피폐한 현실 속에서 주체의 상처를 치유하고 온전한 성인으로 성장하도록 인도한다. 또한 주체가 몸담고 있는 세계 역시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로써 아들은 타자와 나를 구분짓는 이분법적인 세계를 벗어나,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을 구원한 어머니마저 구워하며 현실 속에서 환상을 이루어낸다. 이처럼 본고에서 ‘환상성’을 통해 리얼리즘의 영향권 아래 폄하되어온 이청준 소설의 환상적 요소들을 현실 이면에 가려진 세계를 주목하는 작가의 고유한 특징으로 재조명하고 있다. 더불어 ‘환상성’은 이청준의 작품분석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배제되어 왔던 어머니의 의미를 드러내는 효과적인 역할을 감당한다. 어머니는 아들과 한 몸을 이루었으나 분리됨으로써, 아들로 하여금 영원히 추구되어야할 타자의 위치에 선다. 이러한 타자로서의 어머니는 역시 타자로 규정된 환상과의 공통항을 형성해낸다. 뿐만 아니라 이청준에게 있어 ‘어머니’는 40여 년 가까운 그의 문학 인생에 있어 가장 중심적인 문학적 모티브가 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공통항으로 묶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전짓불로 상징되는 아버지와 그 힘 아래 억눌린 아들의 서사가 주를 이루어온 이청준의 작품 세계를 ‘어머니와 아들’이라는 새로운 관계 속에서 재조명하는 기회를 마련했다고 판단된다. 이청준은 40여 년 가까운 기간 동안 뚜렷한 기복없이 꾸준하게 작품 활동을 지속해왔으며, 그 가운데 좀처럼 태작을 찾아볼 수 없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청준 문학에 관한 연구는 전후 본격적으로 전개된 한국 현대문학사를 조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틀을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Lee’s work hardly shows any serious and specific debates in spite of various characters , space and uniqueness of the fantastics factors which can be found in his work. Lee’s ultimate concept of the world is hiding under what we call it reality. Thus the fantastics in Lee’s work can be an important passage to reveal Lee’s works which are mainly describing the world beyond reality. The fantastics that Lee pursues, is not means of escapism or destroying reality, but the gesture of making peace in order to survive. This peace is made through the image of an accepting and forgiving mother. Because the mother is accomplished by helping his son forms positive identity. Therefore the whole concept of Lee’s work is fantasy and can be categorized with three time periods. In chapter II, In The subject’s reserved fantastic and the loss of the maternity, The study focused on Lee’s early period’s (1965~1974) work called “The variations on the subject of belly button”. This work can reflects in those days of hesitation and vacillation leading the status of impossible decision making by the fantastic effects. In those status, the individuals can deduce the reserved attitude due to the social situation. Characters lost their directions and sucked into the swirl of confusion. The world filled with confusion can control the conscience of the character which can lead the character in his work. The subject’s passivism is objectified and brought out by his lost mother. In chapter III, the escape fantastics through the disrupted maternity is examined on Lee’s middle period’s (1975~1984) work called “A river that stands still”. This period shows humanity against the oppression of political and social mechanism. Characters from Lee’s try to escape from reality by revealing their madness. The fantastics in this period has antagonistic relationship with reality and the subject’s deviation is emphasized on seeking for understanding and comforting mother. The maternity with unconditional love and the maternity with prioritize individual desire force reality separate from the fantastics. In chapter IV, the transcendental fantastics through consecrated maternity is studied on Lee’s late period’s (after 1984) work called “A mythological island”. The characters are forced to be sacrificed by the changes from the outside world, they are not submissive and keep trying to make better future for themselves. Constructing new world is accomplished by the image of giving birth and bringing up their children. Mother can guide the subject to be a complete grown-up from the cruel world. Therefore, son can be free from dichotomy and achieve the fantastics in reality by rescuing not only himself but the mother who saved him. The fantastics can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face up to reality and expressing the writer’s awareness who pursuits to reconcile with the world. The reconciliation with the world through the fantastics can be more evidently suggested by son pursues his mother. As mother and son forever. The fantastics redeeming the world filled with violence and confrontation is accomplished by mother giving a birth to a baby. However, Lee’s work has been mostly dominated by father and his repressed son. Therefore, this thesis provides the opportunity to retrace his work with priority given to father and son to mother and son through the concept of the fantastics. Futhermore, it would be certain to remark that nearly 40years of Lee’s works traced by the subject awareness and methodology with diachrony would achieve the literal significance. Lee chung-joon has been leading a stirring life towards his work nearly 40years and not published a single inferior work. Hence, studying Lee chung-joon’s works and his literal tasks would provide an important formality for illuminating Korean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유보적 환상과 실종된 모성: 「배꼽을 주제로 한 변주곡」을 중심으로
Ⅲ. 도피적 환상과 분열된 모성: 「흐르지 않는 강」을 중심으로
Ⅳ. 초월적 환상과 성화된 모성: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Ⅴ. 나가며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륜(Kim, So Ryun). (2008).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구보학보, 3 , 179-204

MLA

김소륜(Kim, So Ryun).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구보학보, 3.(2008): 179-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