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 지역사회 기반 시민사회조직의 학교개혁 참여

이용수 539

영문명
Community organizations and school reform in America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김영화(Young-Hwa Kim)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123~15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9.29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시민사회조직이 지역의 학교개혁을 위해 어떻게 참여하여 기여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먼저 미국 시민사회조직의 학교개혁 참여 현황을 살펴보고, 이어 시민사회조직의 학교개혁 참여 전략, 학교개혁 참여 성과 및 장애 요인, 효과적인 학교개혁 참여를 위한 과제를 검토하였다. 미국에서는 지난 20년간 지역에 기반을 둔 다양한 시민사회조직들이 독자적 전략을 가지고 학교와 협력을 추구하는 새로운 움직임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왔다. 학교와 지역사회조직간 협력은 작은 학교의 설립과 과밀학교 문제 해소, 학교시설 개선 등 학습 환경 개선, 학업성취도?출석률?졸업률?대학진학동기 향상 등 학생들의 교육성과 향상,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촉진, 학교 구성원간 공동체 의식과 학교에 대한 신뢰 제고, 교직원과 학부모간 의사소통 활성화 등 학교문화 개선, 성과가 낮은 교장과 교육감의 퇴출 등 교육책무성 촉구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시민사회조직의 참여에 대한 학교의 불신과 저항, 시민사회조직의 참여에 대한 교육관료제의 불신과 참여를 위한 공식적 장치 부재, 교육관료제의 폐쇄성과 정보 접근의 어려움, 교육정책 책임 소재의 불투명성, 인적?재정적 자원의 부족, 단체간?학교간 갈등, 취약지역 학교 교직원의 빈번한 이직 등은 지역사회단체의 학교개혁 참여 효과를 높이는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시민사회조직이 학교개혁에 성공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단체의 견실한 운영과 조직 역량 확대, 지지기반 확대, 다양한 조직화 전략의 개발, 포괄적이고 정확한 정보 수집, 언론매체와 재단 등 지원체제의 구축, 교육운동의 틀과 기반이 될 수 있는 철학적, 종교적, 이념적 지향성을 규명 및 학교, 정치체제, 사회변혁, 사회운동 등을 조망하는 개념적 틀의 명료화 등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community organizations have engaged in and contributed to urban school reform in America. I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the community organizations engaged in school improvement, their strategies, outcomes and obstacles, and tasks. Over the past 20 years, new movement has emerged that pursues to build partnerships between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and schools. The partnerships have been found to yield significant positive outcomes: relieving the problem of overcrowded schools; improving learning environment; enhancing student outcomes; promoting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raising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rust in schools among school constituents; improving school cultures; and increasing educational accountability through the withdrawal of low-achieving principals and superintendents. However, a number of obstacles inhibit community organizations from enlarging the effects of their activities: distrust in and resistance to community organizations of schools and education authorities; the lack of official mechanisms for their engagement; the closed educational bureaucracy and difficulties in the access to information; the lack of clarity in the location of accountability of educational policies; the insufficiency of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conflicts among organizations and among schools; and the frequent mobility of teachers and principals of low-income and low-achieving schools. The tasks for the successful education organizing are following: expanding organizational capacities; expanding the base for support; developing a variety of organizing strategies; collecting and analysing comprehensive and accurate information and data; establishing strategic allies with media, foundations and schools; and identifying philosophical, religious and ideological inclinations of education organizing.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미국 시민사회조직의 학교개혁 참여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화(Young-Hwa Kim). (2008).미국 지역사회 기반 시민사회조직의 학교개혁 참여. 비교교육연구, 18 (3), 123-153

MLA

김영화(Young-Hwa Kim). "미국 지역사회 기반 시민사회조직의 학교개혁 참여." 비교교육연구, 18.3(2008): 123-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