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06年 海事勞動協約의 船員 勤勞 및 休息 時間에 관한 硏究

이용수 81

영문명
A Study on the Hours of Work and Hours of Rest for Seafarers in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2006
발행기관
한국해사법학회
저자명
全永遇(Yeong-Woo Jeon)
간행물 정보
『해사법연구』海事法硏究 第20卷 第2號, 33~6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7.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해사노동협약이 규정하는 선원 근로시간과 휴식시간 관련 제도와 우리 선원법 상의 제도에 대한 비교법적ㆍ해석론적 연구를 통하여 그 개정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행 선원법은 기존 선원노동협약의 근로시간 및 휴식시간 제도에 기반을 두고 있어, 비록 최근 주 40시간 근로제를 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해사노동협약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범위에 걸쳐서 근로시간 및 휴식시간 제도를 개정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우리 선원법의 개정방향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선원법이 규정하고 있지 않는 근로시간과 휴식시간의 정의를 도입하여야 한다.
  둘째, 물적 적용범위와 인적 적용범위(예컨대, 기관장 등에 대한 적용배제규정)를 개정하여야 하며, 이 경우 선장의 직접지휘에 관한 규정과 휴식시간 규정과의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계 규정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 선원법의 최대근로시간 기준과 최소휴식시간 기준을 개정할 필요가 있고, “해원”을 “선원”으로 개정하여 선장에게도 근로시간 및 휴식시간 기준이 적용되게 하여야 할 것이다. 연소선원에 대해서는 동 협약이 규정하는 제도를 국내에 새롭게 도입하는 것이 좋다.
  넷째, 선원법에 공휴일 휴일 규정을 신설하되, 제55조 제2항 및 제3항과의 충돌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선원법에 주당 1일 휴일을 명시적으로 규정하는 경우에도 동 조 제2항 및 제3항을 정비하여야 한다.
  다섯째, 연소선원에 대하여 2시간의 근로 후 15분의 휴게시간을 부여하되, 예외적 상황에 대한 적용제외와 비상상황에 대한 적용배제 규정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선원법이 침묵하고 있는 연소선원 이외의 선원에 대한 휴게시간 규정도 선내 근로의 특성에 맞도록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비상시에 대비한 훈련을 휴식기간을 방해하거나 피로를 유발하도록 실시한 경우, 기관구역 무인화선에서 무인당직에 임하는 선원이 작업에 호출되어 정상적인 휴식기간이 방해를 받았을 경우 및 해상안전, 해난구조, 해양오염, 해상보안, 출항정지 등과 같은 선박의 당면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에 동원된 선원의 경우, 해당 선원에게 보상 휴식 또는 휴일을 부여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관련 규정을 정비하여야 한다.
  일곱째, 선내작업배치표와 관련하여 게시의무, 표준화된 양식의 채택, 국ㆍ영문으로 작성 그리고 선원에 대하여 서명된 기록 사본 1부의 제공 등을 규정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tends to propose the amendment measures through conducting comparative and interpretative studies between the system relating to hours of work and hours of rest in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2006 and that in the Seafarers" Act. Although the 40 hours per week system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in the Act, the system of hours of work and hours of rest needs to be amended quite extensively in order to meet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2006 since the present Act is based on the existing maritime labour conventions.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Act resulting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definitions of the hours of work and hours of rest need to be introduced to the Seafarers" Act which lacks them.
  Secondly, the physical and human related scope of application needs to be amended(e.g. by deleting exemption provisions for chief engineers, etc.), in which case the relevant provisions need to be modified in order to avoid a conflict between the provisions on the Master"s Direct Command and the hours of rest.
  Thirdly, the standards on the maximum hours of work and the minimum hours of rest in the Act need to be amended and the word "crew" needs to be replaced with the word "seafarer" in order that the standards on them become applicable to the masters. The provisions applicable to young seafarers in the Convention had better be newly introduced to the Act.
  Fourthly, the provision on rest on public holidays needs to be newly introduced, however this must be stipulated so as not to conflict with the paragraphs 2 and 3 of Article 55. It is also necessary to revise the paragraphs 2 and 3 of same Article in case that one day rest per week is to be expressly prescribed.
  Fifthly, a 15 minute rest period following each 2 hours of continuous work should be provided for young seafarers and exemption provisions for exceptional circumstances and exclusion provisions for various overriding emergency should strongly be introduced. The provisions on short breaks for seafarers other than young seafarers on which the Act is silent should be introduced in such a way to be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hipboard working arrangements.
  Sixthly, the relevant provisions needs to be revised to ensure the seafarers concerned shall have an adequate compensatory period of rest in the case that the emergency drills have been conducted in a manner that disturbed rest periods or induced fatigue, and if the normal period of rest is disturbed by call outs to work such as when a machinery space is unattended and a seafarer has been required to perform any hours of work necessary for resolving immediate emergency relating to marine safety, giving assistance to other ships in distress at sea, marine pollution, maritime security, detention of a ship, etc.
  Seventhly, with respect to the table of shipboard working arrangements,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e requirements on the posting it, the adoption of standardized format, the records in the working language of the ship and in English as well as providing the seafarers with a copy of records pertaining to them endorsed by the master and by the seafarers.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근로시간과 휴식시간
Ⅲ. 휴일과 휴게
Ⅳ. 예외적 상황 등
Ⅴ. 결론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全永遇(Yeong-Woo Jeon). (2008).2006年 海事勞動協約의 船員 勤勞 및 休息 時間에 관한 硏究. 해사법연구, 20 (2), 33-68

MLA

全永遇(Yeong-Woo Jeon). "2006年 海事勞動協約의 船員 勤勞 및 休息 時間에 관한 硏究." 해사법연구, 20.2(2008): 33-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