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용불안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604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Job Insecurity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김종관(Kim Jong-Gwan) 윤준섭(Yun Jun-Seop)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14권 제4호, 59~8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용불안정성의 개념과 영향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고용불안정성이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알아보며 종업원이 느끼는 고용불안정성이 경영조직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신뢰와 조직후원인식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가져오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종업원 고용불안정성의 영향요인으로 제시한 고용변화에 대한 지각은 고용불안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통제능력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고용불안정성은 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고용불안정성의 매개 효과 분석에서 고용불안정성은 고용변화에 대한 지각, 직무통제능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용변화에 대한 지각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고용불안정성은 매개작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불안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신뢰와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종업원의 신뢰는 고용불안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조절작용을 하였으나 조직몰입에 대한 조절작용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종업원의 조직후원인식은 고용불안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조절작용을 하였으나 조직몰입에 대한 조절작용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 of job change, capability for job control and job insecurity.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deal with modulate effect of trus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following diagram, perception of job change, capability for job control are independent variables, job insecurity is a mediat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dependent variables, trus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re moderators.
  To examine the model, this study relied on the samples chosen from Korean employees in the 12 business firm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241 workers. Each questions is based on a 5 point Liken-type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for Windows.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ption of job change has an influence on job insecurity positively. But capability for job control has an influence on job insecurity negatively.
  Secondly, job insecurity has an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negatively, on turnover intention positively)
  Third, job insecurity is mediated between perception of job change, capability for job control with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job insecurity isn"t mediated between perception of job change with turnover intention.
  Forth, analyzing a moderating effect of the trus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turnover inten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관(Kim Jong-Gwan),윤준섭(Yun Jun-Seop). (2007).고용불안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4 (4), 59-83

MLA

김종관(Kim Jong-Gwan),윤준섭(Yun Jun-Seop). "고용불안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4.4(2007): 59-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