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직선거법상 인터넷 관련 규제에 대한 헌법적 검토

이용수 150

영문명
A Constitutional Study of Internet Related Rulings in Public Office Election Law
발행기관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저자명
曺小永(Cho Soyoung)
간행물 정보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13卷 第1號, 41~6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존의 선거환경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새로운 변수로 등장한 인터넷의 매체적 특성과 기능상의 이유들로 인해 앞으로도 정치적이고 민주적인 수단으로서 인터넷의 가치는 계속 증대되어 갈 것이고, 따라서 인터넷은 철저한 헌법정신의 전제하에 법제도 안으로 수용하고 발전시켜야 하는 현대 문명의 대표적인 利器이다. 인터넷 선거운동의 합리적인 제도화는 인터넷이 대의제선거제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유효한 장치로 기능하게 하는 것이지만, 현행 우리 공선법상의 인터넷 관련 규정들은 선거의 공정과 부정선거행위의 방지에 더 골몰하여 인터넷의 매체적 특성을 간과함으로써, 인터넷으로 인하여 기본권 주체들이 향유할 수 있는 표현권의 증대를 오히려 지나치게 제한하는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이 글에서는 현행 공선법상의 인터넷 관련규제 규정에 대하여, 첫째, ‘누구나’에게 허용된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선거운동의 면에서 ‘누구나’에서 소외되는 一部의 헌법적 의미와 헌법이 허용하는 ‘그들’에 대한 국가의 역할론을 논의하고, 둘째 공선법상의 ‘인터넷 언론사’ 규정에 있어서 개념 구분을 위한 판단기준의 불명확성과 개념 규정의 포괄성의 문제로 나누어 검토하며, 셋째 인터넷 실명제의 문제와 관련하여 익명성의 헌법적 의미를 전제로 하여 선거에서의 인터넷 실명제 강제규정에 관한 헌법적 검토를 하였다.

영문 초록

  The U.S. Supreme Court characterized the internet as “a unique and wholly new medium of worldwide human communication” with no single individual or organization in control. Unlike broadcast media, the internet is more akin to a group of individuals sitting in a room talking; anyone with computer can put a message online. The internet and other interactive services should remain unfettered by regulation to preserve the competitive free market that exists there. The notion is that internet, in order to reach its full capability as a medium for information transfer, must be free from most obstruction. The internet, for the most part, has remained free of encumbrances.
  I took an active approach to the applicability of existing election law and regulations to internet activities related election campaign. Most candidates in elections now have Web sites to provid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with supporters. In addition, many individuals create and maintain politically motivated Web sites to advocate issues that are close to their hearts. But the internet as an informational medium allowing mass communication of political speech present a complex puzzle in the election process. So this existing Election Law, through its regulations, should provide maximum protection for election-related fairness. The free expression made possible by the internet is a valuable tool for individuals to voice their opinions on issues and candidates. Any regulations that make it more difficult(or impossible) to take part in this exchange of ideas and opinions violate the Constitution. The internet will forever be a part of political activity and elections. Therefore, Internet related rulings in Public Office Election Law should be reasonable and deliberate method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 of Internet as a new medium.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인터넷과 선거운동의 변화
Ⅲ. 현행 공직선거법상 인터넷 관련규제에 대한 헌법적 검토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曺小永(Cho Soyoung). (2007).공직선거법상 인터넷 관련 규제에 대한 헌법적 검토. 세계헌법연구, 13 (1), 41-64

MLA

曺小永(Cho Soyoung). "공직선거법상 인터넷 관련 규제에 대한 헌법적 검토." 세계헌법연구, 13.1(2007): 4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