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금동관모출토 무덤의 검토

이용수 1115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Tombs from which the Baekje Dynasty Golden Crown was Excavated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이남석(Lee Nam-Seok)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26輯, 215~24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금동관모의 중요성은 소유자의 사회, 정치적 위계를 가늠할 수 있는 유물이란 점이다. 최근 백제지역의 고고학 조사 증가와 함께 동시다발적으로 발견된 다량의 금동관모 자료는 이를 통하여 백제사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들은 모두가 백제의 지방사회에서 발견되었고, 유적 자체가 수장급에 해당되는 무덤이란 공통점이 있으면서 각각의 유적은 지역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차별적 속성도 드러내고 있다. 나아가 이들은 대체로 4세기-5세기대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시간적 공통성도 있다.
  본고는 이처럼 백제사 해명에 커다란 관건을 지닌 금동관모 이해의 전제로 이를 출토한 유적인 분묘를 검토하기 위하여 마련하였다. 논의는 금동관모를 출토한 분묘가 포함된 유적의 환경을 개관하고, 동반유물 및 금동관모의 내용을 정리하여 그에 대한 종합적 현황을 고찰하였으며, 나아가 금동관모가 출토된 무덤의 묘제 특징을 정리하여 그것이 백제의 묘제환경에서 어떤 위상을 갖는가를 가늠한 다음에 각 분묘의 피장자가 어떤 성격의 인물인가를 유추하여 보았다.
  백제의 금동관모 및 관식이 출토된 유적은 나주 신촌리 9호분을 필두로 무령왕릉, 익산 입점리 1호 석실분, 천안 용원리의 9호 석곽묘, 공주 수촌리의 1호 토광묘와 4호 석실분, 그리고 부장리 5호 분구묘, 고흥의 안동 석곽묘를 꼽을 수 있다. 이중에서 무령왕릉만 관식이 출토되고 나머지는 금동관모가 출토되었는데 도읍지와 지방, 그리고 6세기대와 5세기대라는 차이를 지적할 수 있지만 금동관모는 대체로 4세기말에서 5세기대의 유물임을 지적할 수 있다. 그리고 금동관모가 출토된 유적은 모두 고분군으로 토광묘와 분구 옹관묘, 분구 토광묘, 석곽묘, 석실분이란 묘제구분이 가능하다. 이들을 백제의 묘제 범주에서 보면 지방사회의 고유전통을 간직한 토착묘제가 대부분이지만 석실분처럼 신래의 묘제도 있다. 다만 각각의 금동관모가 출토된 무덤은 지방의 고유전통을 간직한 묘제환경에서 벗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비록 석실분처럼 새로운 묘제가 사용되었다 하더라도 토착의 전통환경에 바탕을 두면서 새로운 묘제를 수용하였음이 확연하게 나타난다. 결국 이러한 현황은 금동관모를 출토한 무덤들은 모두 백제 지방사회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묘제환경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하고, 나아가 이는 금동관모의 소유자인 피장자가 그 지방에 뿌리를 둔 토착세력인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결론된다.

영문 초록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Golden Crowns of the Baekje Dynasty lies in the fact that these crowns allow a researcher to approximate the social or political status of its owner with a high degree of certainty. The current boom in archaeological research of Baekje"s history and the simultaneous accumulation of research materials regarding the Golden Crowns are both positive trends that compliment our understanding of Baekje"s history. It is interesting that each and every Golden Crown was discovered in Baekje"s rural society and that while every one of these tombs had the common purpose of burying only the authorities who were of higher status than the provincial chief, each body was buried according to local ancestral rites. Another noteworthy fact is that the graves, artifacts, and the Golden Crowns all dated back to the 4th and 5th century.
  Based upon this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se Golden Crowns,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owners of the crowns by making a thorough analysis of the tombs themselves. And by systematically organizing all information regarding the setting and background of the tombs,the Golden Crowns, and all other relevant articles, this research provides a general understanding of burial sites. It also evalu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estral rites used for the burials in order to unearth various clues that might reveal the social/political status of the body.
  Archaeologists discovered artifacts from the following locations: Najoo Shinchonli tomb site number 9, the tomb of King Mooryung, Iksan Ipjumli stone chamber tombs site number 1, Cheonan Yongwonli stone-lined tombs site number 9, Gongju Soochonli Pit tombs tomb site number 1 and stone chamber tomb site number 4, Boojangli burial mound number 5, and the stone tomb of Goheung located in the city of Andong. Gold ornaments that were used to decorate the tomb itself were discovered only in the burial site of King Mooryung, while Baekje"s Golden Crowns were discovered in all of the other tombs. Some of the crowns were located in populous areas near the capital while others were found in the rural provinces. Some were found to be 5th century works of art while others dated back to the 6th century. The tombs were classified into tombs of baked earth, burial stone vases, burial pit tombs, stone-lined tombs, and stone camber tombs, each with its own ancestral burial rites. Overall, we can see that Baekje buried their dead according to regional style, but we can also glimpse its use of modern tombs such as the stone chambertomb. Likewise, even though the burial grounds in which the Golden Crowns were discovered did not differ much in style from its traditional heritage, the Baekjae burial culture also exhibited the flexibility to receive and apply modern versions as well. But nevertheless, the tombs were an inherent part of the provincial culture. Upon this assumption, we can presume that the owners of the Golden Crowns were authorities whose roots were based in regional and provincial power.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금동관모출토 유적들
Ⅲ. 금동관모 출토 무덤의 분석
Ⅳ. 금동관모출토 무덤의 고고학적 의미
Ⅴ.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남석(Lee Nam-Seok). (2007).백제 금동관모출토 무덤의 검토. 선사와 고대, 26 , 215-243

MLA

이남석(Lee Nam-Seok). "백제 금동관모출토 무덤의 검토." 선사와 고대, 26.(2007): 215-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