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西團山文化의 社會 構造와 發展 段階에 관한 試論

이용수 138

영문명
A Study of Social Structure and Developmental Stages of Xituanshan Culture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吳江原(Oh Kang-Won)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26輯, 159~19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단산문화는 청동기시대 요령, 한반도와 함께 동질적인 대문화 권역을 이루고 있었다는 점에서 우리 학계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아왔고, 내외 학계 모두에서 그간 여러 부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취락, 생업 경제, 사회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반세기 이상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진전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여기에서는 자료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시론적이나마 서단산문화의 사회 문제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 하에, 무덤 자료와 일부 제한적으로 조사된 취락 유적을 중심으로 하여 서단산문화의 획기 별 사회 구조와 발전 단계에 대해 살펴 보았다.
  검토 결과 서단산문화의 사회는 초기(기원전 9세기)에는 식량은 물론 일체의 재화를 자가 생산하여 자가 소비하는 생계 경제 사회이자 낮은 단계의 부족 사회이자 초기 촌락 공동체 사회에, 전기(기원전 8세기)에는 취락의 규모가 확대되고 다소간의 기술적인 혁신이 이루어지기는 하였지만 전과 같은 부족 사회 단계에, 중기(기원전 7~6세기)에는 서단산문화 유적의 조밀화, 청동기의 상대적인 보편화, 유적 간 규모와 부장 등급에서의 층차 등을 고려할 때 사회 전반이 더욱 복잡화되기는 하였으나 아직은 일반 구성원에 비해 차별적인 정치 사회적인 권력과 경제적인 특권을 가진 군장이 출현하지 못한 군장 사회 직전 단계의 발달된 부족 사회에 처하여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서단산문화가 가장 높게 발전된 후기(기원전 5~4세기 중반)에는 중기부터 개시된 기술적인 혁신이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동을 가져왔는데, 대형 중심 유적의 경우 최상위 계층, 상위계층, 일반 부민층, 일반 서민층으로 구분 가능한 부장 등급이 추려지기도 한다. 이와 함께 취락 간의 층차 또한 심화되어 일정한 공간 내에서 중심 유적과 주변 유적의 위계차가 확인된다. 따라서 후기 사회는 군장 사회 단계에 처하여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단, 무덤의 규모와 배치정형 및 부장 수준, 그리고 중심 취락의 경관과 구조 등을 고려할 때, 국가 직전 단계인 복합군장 사회라기보다는 단순 군장 사회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Judging from the data on its tombs, the Xituanshan culture society in general did not so much change drastically at a point of time as got continuously and slowly complicated from begin to end.
  In light of the findings from its tombs, the earliest (B.C. 9th century) Xituanshan society was a subsistence economy society, which depended on self-production and self-consumption for all properties as well as food, a low level of tribe society and an early village community. At the same time, it seems that the control of the society was made by various age sects divided according to age and experience and led by superiors in age, and that families, patrilineally combined, continued to form a regional community by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s with those in neighboring villages.
  The earlier period (B.C. 8th century) saw settlements expanded in scope and technologies more or less innovated. It followed that economic inequality got deepened, which is estimated from the fact that there were destitute people in addition to the tribal chiefs and their family members that owned bronze wares as well as the common people that show general custom of interment of belongings with a corpse. But seeing that the belongings of upper classes show the same types and amount as those of lower ones except around two bronze wares, the earlier period was also still in the phase of tribe society.
  It seems that the middle period(B.C. 7th-6th century) had its society in general more complicated, in terms of the increasing compactness of Xituanshan culture remains and the increasing relative generalization of bronze war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classes in the size of remains and the rank of interment of belongings. However, it appears that the owners of the tombs with bronze wares were not tribal chiefs with politico-social power and economic privileges, seeing that they also had the production-related tools generally not found in the tombs of tribal chiefs.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middle period society was in the phase of an advanced tribe society immediately before the chiefdom society.
  The later period(B.C. 5th to middle 4th century) saw the technical innovation since the middle period cause a big change throughout the society in general. In large central remains, the interment of belongings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highest class, the upper class, the rich class and the common people class. As the differences between settlements got deepened in clas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rank within a certain space. Accordingly, the later society was in the phase of the chiefdom society. But considering the scope and deployment form of tombs, the level of interment of belongings, and the scenery and structure of a central settlement, the society is considered to have been a simple chiefdom society rather than a complex chiefdom on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획기와 편년
Ⅲ. 획기 별 사회 구조와 발전 단계
Ⅳ.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吳江原(Oh Kang-Won). (2007).西團山文化의 社會 構造와 發展 段階에 관한 試論. 선사와 고대, 26 , 159-191

MLA

吳江原(Oh Kang-Won). "西團山文化의 社會 構造와 發展 段階에 관한 試論." 선사와 고대, 26.(2007): 159-1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