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투사시와 객관주의 전통 - 찰스 올슨과 로버트 크릴리
이용수 277
- 영문명
- Projective Verse and the Tradition of Objectivism: Charles Olson and Robert Creeley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류기택(Gi Taek Ryoo)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 제83호, 79~9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Olson"s "Projective Verse" poetics and the ways in which Olson‘s and Creeley"s works succeed to and move beyond Pound-Williams" Imagism-Objectivism.. Just as Objectivism grew dialectically out of Imagism, what Olson and Creeley tried to develop in their poetry and poetics grew dialectically out of Objectivism--not in opposition to it but in fruitful tension. Imagism is concerned with the moment the subjective becomes objective; Williams goes further by shifting the emphasis of the poem from subjectivity to its objective expression; however the Projectivists turn themselves into objects and try to meet the objects in nature directly. Thus, I will argue in this paper, in spite of their striking similarities, the Projectivists have come to redefine the traditional concept of Pound-Williams" "Objectivism" by calling our attention to the fact that art is more than a way of perceiving and describing objects; it becomes a way of entering the world of objects and thus a way of participating in their becoming. The artist needs no longer be considered as creative mind outside of what he makes; the art object literally becomes a place where artist and the world of objects meet and shape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ojectivists have conceived a new aesthetic designed to permit reality to occur directly in art in the way it actually does occur in natur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고작성 및 편집양식 외
- 영어와 한국어 시 구절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비교 - 사랑 표현을 중심으로
- The Korean Counterparts of the English Ditransitive Verb Teach
- 『햄리트』에 나타난 욕망과 억압적 힘의 양상
- 투사시와 객관주의 전통 - 찰스 올슨과 로버트 크릴리
- Multiple Voices in Narrative Research in Education - Who Writes about Whose Life for Whom?
- 형용사 결과술어의 의미 제약
- The Accommodation of Afro-American Folk Music as Depicted in Toni Morrison’s Jazz and Ralph Ellison’s Invisible Man
- Form Without Boundaries - An Interpretation of the Structure in Herman Melville"s The Confidence-Man: His Masquerade
- 흑인 여성의 말하기의 의미 - 허스톤과 워커
-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미국의 정체성 연구 - 언어 문제와 상징성을 중심으로
- 딜런 토머스의 시 쓰기 담론 - 주제와 기법 ― 그의 서간문을 중심으로
- 호손의 모호성의 서술 전략 - 『주홍글자』를 중심으로
- 전쟁과 연민: 휘트먼과 오웬의 전쟁시 읽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