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유당관북유람일기』의 텍스트 성격과 여성문학사적 가치
이용수 551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Text and Values in Women"s Literary History of EuiyudangKwanbukYuramIlgi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류준경(Ryu Jun-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45집, 117~14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essay is to search characteristics and values in women"s literary history in the Text of EuiyudangKwanbukYuramIlgi (A diary of Euiyudang"s Kwanbuk area trip). Specially by investigating ChunilSoheung and YungmyungsaDeukwolluSangryangmun which have not yet taken notice we intend to confirm values of EuiyudangKwanbukYuramIlgi in women"s literary history.
ChunilSoheung is a kind of records that includes some historical person"s anecdotes. It was translated the data of Yi UiHyun李宜顯"s Wunyangmanrok and Bak RyangHan朴亮漢"s Maeonghallok into Korean. The characteristic of these works is that through all these works we can remark a political coloring. Exactly Yi UiHyun, Bak RyangHan and Madam Euiyudang Nam意幽堂 南氏 belonged to equal political coloring.
The original writer of YungmyungsaDeukwolluSangryangmun is not so clear, but because Deukwollu of Pyongyang had constructed by Hong SangHang洪象漢 who was the governor of Pyongyang at that time, it seems that the original writer of this work was related with Hong SangHan. Hong SangHan and Euiyudang were related by marriage.
Reveiwing these facts, we can notice of the feature of literature enjoyment of illustrious officials women. Studying on ChunilSoheung, we can notice of the feature that illustrious officials women had been read a historical romance. And with translating YungmyungsaDeukwollu-Sangryangmun, we also notice of closed trend and political coloring of women"s literature at that time.
ChunilSoheung is a kind of records that includes some historical person"s anecdotes. It was translated the data of Yi UiHyun李宜顯"s Wunyangmanrok and Bak RyangHan朴亮漢"s Maeonghallok into Korean. The characteristic of these works is that through all these works we can remark a political coloring. Exactly Yi UiHyun, Bak RyangHan and Madam Euiyudang Nam意幽堂 南氏 belonged to equal political coloring.
The original writer of YungmyungsaDeukwolluSangryangmun is not so clear, but because Deukwollu of Pyongyang had constructed by Hong SangHang洪象漢 who was the governor of Pyongyang at that time, it seems that the original writer of this work was related with Hong SangHan. Hong SangHan and Euiyudang were related by marriage.
Reveiwing these facts, we can notice of the feature of literature enjoyment of illustrious officials women. Studying on ChunilSoheung, we can notice of the feature that illustrious officials women had been read a historical romance. And with translating YungmyungsaDeukwollu-Sangryangmun, we also notice of closed trend and political coloring of women"s literature at that tim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의유당관북유람일기』의 텍스트 성격
Ⅲ. 『의유당관북유람일기』 텍스트의 여성문학사적 의미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Ⅱ. 『의유당관북유람일기』의 텍스트 성격
Ⅲ. 『의유당관북유람일기』 텍스트의 여성문학사적 의미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라성덕의 ≪우리 새 세대≫ 연구
- ‘국민’ 담론 형성과 균열의 기원 - 『매일신문』을 중심으로
- 근대계몽기 여성의 국민화와 가족-국가의 상상력
- 韓國文獻이 나에게 던져 준 質問들 - 未決의 章을 위한 提言
- 〈화정선행록〉에 나타난 多重結緣의 複合 構造
- 〈江都夢遊錄〉에 나타난 역사적 상처와 형상화 방식
- 1930년대 중후반 임화 시와 비평의 관계
- 지역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2) - 제주, 전남ㆍ광주, 부산ㆍ경남을 중심으로
- 「귀의 성」에 나타난 질투와 시기의 의미
- 『의유당관북유람일기』의 텍스트 성격과 여성문학사적 가치
- 근대계몽기 신문 매체와 근대의 글쓰기 - 『?일신문』을 중심으로
- 재일한국인 유미리의 소설 연구 - 경험의 문학교육적 가능성에 관한 시론
- 4월혁명시의 매체적 기반과 성격 연구
- 근대계몽기 법 담론과 그 균열의 양상
- 1960년대 전후소설의 대립 구조와 주제 의식 - 『광장』ㆍ『방앗골 革命』ㆍ『시장과 전장』을 중심으로
- 균여 향가의 밀교적 성격과 문학성에 관한 연구
- 경판방각소설의 각자체(刻字體) 연구
- 한국문학회 휘보(2002. 6월 ~ 2006. 12월)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