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질 기준 연구

이용수 272

영문명
Qualification Standard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박순희(Sunhi Bak)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0권 제4호, 135~16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3.0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자질있는 교사가 특수아동의 개별 요구와 장애정도에 적합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시각장애 아동은 다른 특수아동들이 보이는 교육적 요구와 다른 요구들을 보이기 때문에 시각장애교육 교사는 탁월한 역할 수행을 위한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미국의 특수아동협회(CEC)는 시각장애교육 교사가 자질로 갖추어야 하는 지식과 기술 목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 자질목록에 대한 필요도 조사를 시각장애교육 경력 3년 이상인 시각장애학교 현직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질 기준을 알아보았다. 결과로 한국의 시각장애교육 교사를 위한 4가지 주요 자질영역과 61항목(지식 44항목, 17항목)이 선정되었다. 시각장애아동들의 교육적 요구의 이해를 도모하며 시각장애 영역에서 자질있는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 및 대학원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본 연구결과가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portant knowledge and skill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s qualification standards in Korea. The subjects were 101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special schools for the blind. Each of CEC Knowledge and Skill Base for All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was evaluated with a five-point Likert-scale. The qualification standards list developed in this study is consisted of four factors(foundations, individual learning differences, instruction, learning and assessment) and 61 items(44 knowledges, 17 skills). It can be essentially used to develop model curriculum preparing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t undergraduate or graduate level.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희(Sunhi Bak). (2006).시각장애교육 교사 자질 기준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0 (4), 135-164

MLA

박순희(Sunhi Bak).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질 기준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0.4(2006): 135-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