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교육시설의 공간조정을 위한 기준설정에 대한 연구

이용수 356

영문명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for the Space Control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University Campus
발행기관
한국산업경영학회
저자명
이균봉(Lee Kyun-Bong) 주태순(Joo Tae-Soon) 배병한
간행물 정보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2006년도 동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57~27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2.28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캠퍼스의 공간자원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공간자원 이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본 자료와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물리적인 공간자원 이용 현황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기간의 강의용역 상호수수관계를 파악하여 수강 학생의 소속별 상호수수배분에 의한 실질적인 공간자원 이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처럼 학과(부)간 강의용역 상호수수관계를 고려한 분석은 본 연구가 국내 최초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단과대학 혹은 학과별로 교육시설의 사용면적 및 활용정도에 커다란 차이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수요자 중심의 사용면적인 강의용역 상호수수관계에 의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은 타 단과대학에 비해 월등히 많은 교육시설 면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문의 성격상 실험기자재를 보관 및 관리하는 실험시설과 연구시설의 절대 공간이 다른 단과대학에 비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1인당 교육시설면적을 기준으로 볼 때 상과대학과 사회과학대학, 인문대학 등은 매우 열악하며 상대적으로 생활환경대학과 예술대학은 수업환경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구분한 범주 3의 차이가 각 기관별 공간 불균형을 초래하는 주된 요소가 된다. 공간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 대학본부가 공간조정력을 발휘하여 과도하게 점유하면서 활용도가 저조한 기관으로부터 공간을 환수하여 다시 할당하는 방법과 인접 관련학과와 공간시설을 공유하는 정도를 제고하도록 동기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기적으로 과도한 공간점유기관의 공간점유와 활용도를 평가를 하여 개선시 보상을 제공하고 개선되지 않은 경우는 벌칙을 주는 방법도 가능하다. 동시에 대학 내 신문과 방송 등 매체를 통하여 대학구성원들에게 비효율적 공간자원사용에 대한 사실을 공지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배분면적의 크기만으로 강의의 내용과 질을 논할 수는 없다. 또한 비효율적 공간자원의 상대적 크기만으로 해당 전공의 경쟁력까지 저울질 할 수는 없다. 그러나 학문간 상호교류를 증진시키고 중복투자를 예방하는 지혜를 발휘할 수 있다면 대학이 처해 있는 공간자원의 부족 현상을 타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본 연구대상대학과 유사한 상황에 있는 다른 대학의 공간자원 활용정도를 제고하는 데 작은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미래에 보다 개선된 공간자원 배분방법을 학술적으로 천착하는데 작은 디딤돌 역할을 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andard for the space control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University. We emphasize the superiority of the cause-and-effect and the benefits-received criteria, especially when the purpose of cost allocation is economic decisions or motivation. In addition, the educational facilities have public goods in nature. So, using the benefits-received criterion, educational services are allocated among the beneficiaries in proportion to the benefits received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and the college of nature and sciences have more space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an others. However, the college of business, the college of social science and the college of humanities have poor circumstances in educational services.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공간자원 분석모형
Ⅲ. 공간자원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부록 표〉 첨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균봉(Lee Kyun-Bong),주태순(Joo Tae-Soon),배병한. (2006).대학교육시설의 공간조정을 위한 기준설정에 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2006 (4), 257-275

MLA

이균봉(Lee Kyun-Bong),주태순(Joo Tae-Soon),배병한. "대학교육시설의 공간조정을 위한 기준설정에 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2006.4(2006): 257-2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