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地籍原圖를 활용한 邑城空間의 역사지리적 복원 : 경상도 읍성을 사례로

이용수 778

영문명
The Restoration of the Town Castle Space Using of the Original Cadastral Map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최원석(Wonseok Choi)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17권 제2호, 74~92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8.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고는 1910년대에 실측 제작된 지적원도를 활용하여 조선시대의 읍성공간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경상도 읍성을 사례로 지형적 입지, 공간적 형태, 장소적 배치를 분석함으로써 읍치 경관의 역사지리적 연구에 일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적원도는 당시에 유존하고 있었던 읍성의 위치, 입지, 영역, 평면형태, 규모, 공간 구성, 토지 이용, 가로망, 읍성 구성요소의 점유 현황 및 배치 등과 아울러 읍성의 시간 단면적이거나 시계열적인 변천 과정을 파악하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읍성의 지형적 입지는 산지입지, 산기슭입지, 구릉지입지, 평지입지로 유형화될 수 있으며, 본고에서는 지적원도에 드러난 읍성의 평면형태와 지목 분포의 분석을 통해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읍성의 평면형태는 규격형(원형ㆍ사각형)과 자연지형형으로 분류되었는데 평지입지는 규격형으로 나타나고 그 외는 지형지세에 따른 부정형으로 나타났다. 읍성공간의 간선로는 일직선형, 삼거리형, 십자로형 등으로 나뉘었는데, 특히 십자로형 간선로는 평지입지의 읍성에서 많이 나타났다. 행정중심지의 배치 패턴은 中心形, (背後)偏心形, 兩心形 등으로 분류될 수 있었는데, 중심형과 배후형은 각각 공간적 중심성과 위계성이 배치에 반영된 것이다. 아울러 배후형의 배치양상은 풍수적 主山(혹은 鎭山)에 背山하려는 풍수적 입지 경향 때문이기도 하였다. 客舍와 衙舍(동헌)의 위치 및 배치관계를 원리적으로 보면, 客舍는 위계적 요인이, 衙舍는 풍수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강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客舍의 위치는 南門大路의 頂點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衙舍에 대해 상대적으로 왼편(東) 혹은 배후(北)에 주로 배치되었는데 그 배경에는 조선시대의 위치와 방위에 대한 위계적 관념이 공간적 배치에 반영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the method of using the original cadastral map in analysis of the Eup-town castle space. On the basis of the original cadastral map, Ⅰ analysised the topographical location, the plane shape and the place disposition of the traditional town castles in Gyeongsang province. The topographical locations of the Eup-castles are divided into the mountain, the foot of mountain, the hill and the flatland location types. The plane shapes of the Eup-castles are classified into the standard form and the topographical form. And the main roads of the Eup-castles are divided into a straight line, the three-forked and the figure of a cross road types. The dispositional patterns of the central places are classified into the central, the central-backward and the twin-core patterns. The dynastic official houses(Gag-sa) are usually arranged at left or backward side of the local official houses(Dong-heon), it means that the hierarchial concept is presented at the spacial placement of the central public architecture.

목차

요약
Abstract
1. 머리말
2. 지적원도 활용의 방법과 의의
3. 읍성의 지형적 입지
4. 읍성공간의 형태
5. 읍성공간의 장소 배치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원석(Wonseok Choi). (2005).地籍原圖를 활용한 邑城空間의 역사지리적 복원 : 경상도 읍성을 사례로. 문화역사지리, 17 (2), 74-92

MLA

최원석(Wonseok Choi). "地籍原圖를 활용한 邑城空間의 역사지리적 복원 : 경상도 읍성을 사례로." 문화역사지리, 17.2(2005): 74-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