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nter-Local Cross-Border Cooperation as a Catalyst for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이용수 22
- 영문명
- Inter-Local Cross-Border Cooperation as a Catalyst for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 발행기관
- 한국경제발전학회
- 저자명
- Won-Bae Kim
- 간행물 정보
- 『경제발전연구』경제발전연구 제10권 제2호, 37~64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도시간 또는 지방정부간 협의체를 통한 지방간 국세협력은 환황해권이나 환동해권 등 동북아의 하위경제권에서의 협력을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동북아의 경제협력체 형성에 기여하는 실질적이고 유효한 방안임을 제시하고 있다. 시장의 힘에 근거한 지방단위에서의 윌경적 지방간 협력은 동북아 각국의 국익우선주의 또는 민족주의적 경향을 극복하면서 지역공동체 형성에 매우 긴요한 신뢰를 구축하는 데 유익한 방편이 될 수 있다. 또한 월경적 지방간 협력은 경제의 세계화 및 지역화의 심화에서 발생하는 도시지역 단위에시의 구조조정 압력에 대응할 수 있는 한 가지 전략적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두 가지 관점에서 이 글은 동북아에서 월경적 지방간 협력의 현황, 잠재력 및 제약 요인을 살펴보고 지방차원에서의 월경적 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틀을 전략적 접근방법 및 거버넌스 구조 그리고 협력의 내용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특히 도시간 협의체 형성을 통하여 공통의 이익을 확대하는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JEL : O53)
영문 초록
This essay suggests that inter-local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not only an effective means of forming localized subregional economic zones such as the Yellow Sea economic zone and the East, Sea economic zone but also a catalyst for building an economic community in Northeast Asia. Inter~local cross-border cooperation, which is based on market forces, provides an important tool to overcome narrow self-interests or closed nationalism as well as to build much-needed trust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ter-local cooperation can also be regarded as one avenue of territorial restructuring of cities and regions in an increasingly globalized environment. With such a perspective, this essay provides concrete strategies to deepen inter-local cooperation after a brief review on the current status, potential and constraints of inter-local cross-border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목차
국문요약
Ⅰ. Introduction
Ⅱ.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 Dream or a Vision?
Ⅲ. Inter-Local Economic Cooperation as a Complementary Approach
Ⅳ. Rationale and Conditions for Cross-Border Inter-Local Economic Cooperation
Ⅴ. Cross-Border Ineter-local Cooperation in the Subregions of Northeast Asia
Ⅵ. Obstacles to Inter-local Cooperation in the Subregions of Northeast Asia
Ⅶ. A Framework for Cross-Border Inter-Local Cooperation
Ⅷ. Conclusions and Policy Recommendations
References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新經濟의 柔軟性과 效率性간의 關係에 대하여
- The Impact of 3D-CAD on New Product Development
- Inter-Local Cross-Border Cooperation as a Catalyst for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 Recent Economic Integration in North-East Asia: Changing Economic Structure and Employment Practice in Japan
- 은행산업의 집중과 안정성 - 지점금지규제와 대공황시기 시카고의 은행파산 -
- 빈곤층 변화 요인분석 - Sen 지수를 중심으로 -
- 한국기업지배제도의 이론적 배경과 평가
- 인적자원개발과 중소기업의 지배구조
- Study on the Study on the Technology Strategies of Local Automobile Firms in China
- 국내 및 국제적 지식확산의 기술추격 - 미국특허 자료를 이용한 한국과 대만의 디램 산업 비교 -
- 금융구조와 경제성장 - 은행중심 시스템과 자본시장중심 시스템의 비교 -
- 전력시장의 시장지배력 - 경쟁촉진정책과 포워드거래 허용정책의 비교 분석 -
- 會則 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