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무특성과 조직신뢰가 직무불안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045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Trust o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김해룡(Hae-Ryong Kim)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인사관리연구 Vol.28 No.4,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무특성, 조직신뢰, 직무불안, 그리고 조직몰입간의 관계들에 초점을 둔다. 연구주제의 중요성과 기존 연구의 한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직무특성과 조직신뢰가 가지는 직무불안에 대한 선행변수 역할을 탐색적으로 조사한다. 연구모형은 기존 연구들로부터 이론적 연결을 토대로 제안되었다. 모형은 구조조정을 겪지 않은 화학제품 제조회사의 구성원 82명의 설문응답을 표본으로 실제 검증되었다. 검증결과, (1)과업정체성, 기술다양성, 그리고 자율성의 세 가지 직무특성은 직무불안과 부(負)적 관계를 가졌다. (2)직무불안은 조직에 대한 감정적 몰입과 부(負)적 관계를 가졌다. (3)조직신뢰는 조직몰입에 정(正)적 관계를 가졌다. 그러나 (4)조직신뢰와 직무불안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직무특성과 조직몰입간의 직접적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학계와 실무계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이어서 본 연구의 한계점들이 검토되었으며, 그리고 후속연구의 방향이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among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trust,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research topic and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explored the roles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trust as antecedents of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research model was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linkages of prior relevant studies. The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with 82 workers of a chemical manufacturing company which had not experienced restructuring.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l)Three job content dimensions including task identity, skill variety, and autonomy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job insecurity. (2)Job insecurity was related negatively with affective commitment to organization. (3)Organizational trust favorably contribu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4)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insecurity an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mpirical findings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to advance the development of a theory regarding job insecurity and researchers to understand job design and workers' perception of job insecurit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suggested.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과 가설
3. 연구방법
4. 결과
5.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ction Learning 방식에 의한 교육프로그램의 교육효과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현대, 기아 자동차 변화 추진자 해외연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人事管理硏究」 투고요령 외
- Motivation to lead and Leadership Development Aspiration: Sex and Gender Difference
- 직무특성과 조직신뢰가 직무불안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LMX의 질, 자아개념, 조직유효성간의 관계 연구
- 복리후생의 선택이 복리후생만족, 임금만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냉소주의와 리더십, 조직공정성 및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경영 리더십
-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의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공정성이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부정적 감정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